정부, 물가와의 전쟁 나섰다… 금통위, 1월 기준금리 0.25%P 인상

입력 2011-01-13 21:37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물가 불안을 이유로 1월 기준금리를 13일 전격 인상했다. 같은 시각 정부는 ‘서민물가 안정을 위한 종합대책’을 확정·발표했다.

사실상 정부의 미시 대책에 한은이 금리 인상이라는 강력한 거시정책을 지원한 모양새다. 정부와 중앙은행의 전방위적인 물가잡기 행보가 확인됨에 따라 정책 기조가 당분간 성장보다는 물가로 돌아서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정례 회의를 열어 1월 기준금리를 전달보다 0.25% 포인트 올린 연 2.75%로 결정했다. 기준금리가 인상된 것은 지난해 11월 2.25%에서 2.50%로 조정된 뒤 2개월 만이다. 시장에서는 설 명절을 앞둔 시기적 요인과 가계부채 문제 등을 들며 금통위가 1월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었다.

김 총재는 금통위 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원자재가 등이 오르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되고 있다”며 금리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김 총재는 특히 올 상반기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전망했던 3.7%보다 더 올라 4%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도 한은과 마찬가지로 물가상승세의 심각성을 공유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청와대에서 열린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물가 압력이 조기에 진정되지 않으면 인플레이션 심리가 퍼져 경제의 안정 기반이 훼손될 수 있다”고 말했다. 상반기 경제정책 우선순위를 물가 안정에 두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상반기에 전기·가스 요금은 물론 도로통행료와 시외·고속버스 요금을 동결키로 했다. 봄 이사철에 맞춰 소형 분양·임대주택 9만7000가구가 조기 공급된다. 스마트폰 사용 시 주어지는 무료 음성통화 시간이 20분 이상 늘어난다.

한편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장금리가 동반 상승하면서 이날 시중은행의 CD 연동 주택대출 최고 금리는 연 6%대로 지난해 1월 중순 이후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세욱 김찬희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