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화해 미팅’ 연기… MB 분노 아직 안풀린 듯

입력 2011-01-13 18:01


여권 ‘정동기 사태’ 여진 계속

여권이 정동기 전 감사원장 후보자 사퇴 과정에서 빚어진 당·청 갈등 수습에 들어갔지만 여진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겉으로는 당·청 소통 강화를 외치며 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사태 과정에서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 등 당 지도부가 보여준 태도에 이명박 대통령의 분노가 풀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는 등 양쪽이 감정의 앙금을 털어내기까지는 제법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안 대표는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에 당의 뜻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본뜻과 다르게 일부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는 점에 아쉬움이 있다”며 “앞으로 당·청이 소통을 강화하고 협력해서 국민의 신뢰와 사랑받는 정치를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나경원 최고위원도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말이 있다”며 “원활한 소통을 통해 당·청이 국민과 국가의 이익을 위해 함께 잘 나갈 것”이라고 거들었다. 정 전 후보자 인사와 관련해 강한 발언을 쏟아냈던 홍준표, 서병수, 정두언 최고위원도 공개 석상에서 별다른 발언을 하지 않았다.

당 안팎에선 더 이상 책임 공방을 벌이지 말고 이번 사태를 당·청 관계 정상화의 계기로 삼자는 목소리가 많다. 김성식 의원은 “네 탓 내 탓 공방 그만하고 당은 그동안 자기 목소리를 정상적으로 못 냈던 것을 반성하고, 청와대는 국민의 신뢰를 찾을 수 있도록 성찰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당초 임태희 대통령실장 책임론 등 강한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됐던 소장파 의원 모임 ‘민본21’ 정례회의에서도 이와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화해책으로 거론된 이 대통령과 안 대표 등 지도부와의 회동은 설 연휴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실무진에서 26일 당·청 회동을 검토했으나 이 대통령의 일정상 연기할 수밖에 없다”며 “고위 당·정·청 회의도 있는데 굳이 당·청 회동을 할 이유가 있느냐”고 말했다. 청와대는 대신 김황식 국무총리와 장관들, 한나라당 지도부,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 청와대 참모들이 참석하는 고위 당·정·청 회의는 예정대로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의 한나라당에 대한 ‘분노’가 풀리지 않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안 대표에 대한 신임을 사실상 철회했다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당내 분위기 역시 안 대표가 무너진 리더십을 회복하기엔 우호적이지 않아 보인다.

안 대표가 제안한 개헌 의총에 대해 민본21 의원들은 “이 시점에서 개헌 의총을 여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친이계 의원들 사이에서도 안 대표 처신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다. 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고 현시점에서 전당대회를 열기도 쉽지 않아 당분간은 안 대표 체제에 힘을 실어주자는 기류로 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나래 남도영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