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AI 축산농 패닉] AI도 최악으로… 가축 매몰지 2259곳 달해
입력 2011-01-13 00:36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세가 계속 이어지면서 전국적인 재앙 수준이 된 ‘구제역의 재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북 천안·전북 익산에서 시작된 AI는 연일 발생지가 추가되면서 12일 현재 전국 6개 시·군으로 확대됐다. 또 이날 충북 진천, 전남 영암·여수, 경기 안성, 부산 등에서 의심신고가 잇따랐다.
정부는 이 같은 AI 확산세에 따라 헬리콥터를 이용한 전방위적인 방역을 실시키로 했지만 겨울철 AI 바이러스 생존력이 높은 데다 서해안을 따라 조류 축산 농가가 밀집돼 있어 빠른 진화가 힘든 게 아니냐는 비관론이 커지고 있다.
특히 AI의 경우 사료·분뇨 수송차량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철새에 의해 바이러스가 퍼질 가능성이 높아 구제역보다도 사전 차단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봉균 서울대 수의과 교수는 “북극 시베리아 호수가 AI 바이러스 자체라고 보면 되는데 여기서 온 철새들에 의해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막을 길이 없다”면서 “근본적으로 철새도래지가 많은 서부벨트에 양계 농가들이 많은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구제역과 AI의 동시 확산에 따라 전국 가축 매몰지는 11일 기준 전국 453개 시·군 2259곳에 달했다. 지난해 1∼5월 발생한 구제역 매몰지 244곳과 2000년 이후 누적된 AI 매몰지 722곳을 합친 966곳의 배가 넘는 수준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구제역과 AI 등으로 가축을 매몰한 지역에 대해 ‘매몰지 사후관리반’을 구성, 침출수 제거, 배수로 정비, 악취 방지, 매몰지 복토 등 관리를 철저히 하기로 했다. 특히 환경부는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을 우려해 지방환경청, 환경공단 등과 함께 ‘환경관리 대책반’을 꾸려 먹는 물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대책반은 또 침출수가 유출되거나 저류조, 유공관 등이 갖춰지지 않은 매몰지를 신속하게 개선하고, 주변지역 지하수 모니터링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지역주민의 먹는 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매몰지역에 상수도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조민영 기자, 임항 환경전문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