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레임덕 막기 위해 대통령이 해야 할 일

입력 2011-01-12 17:48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가 결국 자진사퇴했다. 그의 낙마는 이명박 대통령이 인사(人事)에 약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국민들에게 각인시켰다. 거기다 청와대와 집권 한나라당의 갈등이 표면화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번 사태를 조기에 말끔히 수습하지 못할 경우 임기 말 레임덕(권력누수) 현상이 급격히 몰려올지도 모른다. 권력누수 방지가 국정 성패의 관건인 만큼 이 대통령이 비상한 각오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대통령이 국민에게 다짐한 것처럼 올 한해 권력누수 없이 국정에 전념할 수 있으려면 우선 자신의 인사 스타일에 문제가 없는지 되돌아보고, 청와대 인사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집권 이후 무려 8명의 고위직 인사가 청문회의 벽을 넘지 못했다는 것은 인사에 허점이 많다는 것을 입증한다. 대통령이 새로운 사람 발굴을 꺼린다는 지적을 많이 받는다. 그러다 보니 국민에게 감동을 주는 인사가 이뤄지지 않는다. 청와대 내 인사 추천 및 검증이 너무 폐쇄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다. 큰 틀의 새로운 인사 시스템을 구상해 볼 때다.

후임 감사원장 후보자를 고르는 것도 시급하다. 지난번처럼 감사원장과 국민권익위원장 후임자를 지명하는 데 3개월, 6개월씩이나 걸려서는 안 된다. 감사원은 이미 3개월 반이나 수장 공백 상태다. 공공기관 직무감사가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 공직기강을 튼튼히 하기 위해서라도 감사원장 후임자 지명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한나라당과의 관계를 돈독히 할 필요가 있다. 임기 말에 여당이 청와대와 거리를 두려고 하면 대통령은 아무 일도 할 수 없게 된다. 아무리 여당이라도 대통령이 차기 총선과 대선에 도움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당에서 떠나라’는 소리를 하기 마련이다. 그런 취급을 받지 않으려면 청와대와 여당이 한 몸이라는 자세로 국정운영을 공유해야 한다.

대선 예비주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다. 대통령이 인사나 정책에서 허점을 보일 경우 차기 주자들은 곧바로 공격해 오게 된다. 여권 예비주자들과는 정권 재창출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도움을 주고받는다는 생각으로 한 배를 타는 게 좋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