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제과 뻥튀기 인상 손본다
입력 2011-01-11 21:09
콜라, 원가비중 4.5%뿐인 설탕값 올랐다며 8.6%나 올려
음료와 제과업체 등 일부 업체들이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가격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업체는 원재료 상승요인이 없는데도 분위기에 편승해 가격을 올렸다. 정부는 이에 따라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물가대책 관련 국민경제대책회의에 이 같은 사례를 보고하고 업체들의 가격 과다인상·편승인상 등을 중점 단속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11일 최근 가격이 오른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원가분석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달 들어 코카콜라음료는 4개 브랜드 13개 품목 공급가격을 4.2∼8.6% 올렸다. 주된 이유는 원재료인 설탕가격이 지난해 12월 9.8% 인상됐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음료 원가에서 설탕 비중은 4.5%에 불과해 가격인상 폭은 0.44%가 적당하다. 그런데도 4.2∼8.6%나 올린 것은 지나치다는 게 재정부의 판단이다.
또 오뚜기가 지난달 23일 당면 가격을 17% 올린 데 이어 다음 달에는 제과업체들이 초코파이 등 과자류 값을 7∼8%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과자류와 빵의 주 원료인 밀가루 가격은 2008년 4월 15% 인상된 이후 오히려 지난해 1월까지 세 차례나 내렸다. 재정부 원가분석 결과 과자 원가에서 밀가루 비중은 8.0%에 불과한 데다 원재료인 밀가루 가격은 오르지도 않았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실제로 가격 인상요인이 크지 않은데도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을 빌미로 최근 가격을 조작하거나 분위기에 편승해 가격을 올리는 업체들을 조사하겠다”며 “정부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공공요금 동결뿐이어서 학원비, 대학등록금, 생필품, 석유류 가격 등에 거품이 없는지 살펴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와 관련, 서민생활과 직결된 품목 중 최근 가격이 인상됐거나 인상이 예상되는 품목들에 대해 10일부터 담합 등 불공정행위에 대한 전면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음식료, 식자재, 주방용품 등 주요 생필품이며 밀가루, 두유·컵커피 등 음료, 치즈, 김치, 단무지 등 반찬류가 포함됐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