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수 대표 신년연설 “정부 정책 적극 협조하되 민심, 국정에 충분히 반영”
입력 2011-01-11 18:21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 11일 신년 연설에서 “민심을 수렴해야 하는 당의 입장에서 국민여론이 국정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한 안 대표가 당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함에 따라 향후 당·청 관계 변화가 주목된다.
안 대표는 또 민생경제 활성화와 서민생활 안정 등 친(親)서민정책을 역설했다. 최근 물가급등 사태와 관련해서는 “13일 발표될 정부대책에 서민의 어려움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특히 공공요금, 기름값, 대학 등록금 등 서민생활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품목에 대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도록 요구했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이어 “정부가 범정부적 총력 대응체계를 신속하게 가동해 구제역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며 신종 질병에 대한 상시적·예방적 종합시스템 구축을 촉구했다.
이날 연설에서는 정부에 대한 다양한 주문이 쏟아졌지만 전날 주도한 ‘반란’에 비추어 강도가 세지는 않았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연설문 초안에는 “불가피할 경우 (정부에) 견제할 것은 제대로 견제하고 보완해 나가겠다”는 문구가 포함돼 있었으나 발표 직전 연설문에서 빠졌다. 안 대표의 측근은 “민감한 시기에 확대 해석될 가능성이 있어서 문구를 뺐다”고 설명했다. 안 대표는 연설 도중 “지난 3년간 우리 당은 정부 정책에 잘 협조해 왔고, 앞으로도 적극적인 협조를 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아울러 안 대표는 “권력구조만이 아니라 기본권, 삼권분립의 문제 등 시대적 요청에 따른 모든 문제를 논의하는 대화의 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회 개헌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또 “지역감정을 완화하고 국민 화합을 이뤄낼 수 있도록 선거구제 논의가 필요하다”며 “여야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나 지역 석패율제 도입 등 제도적 보완책을 적극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폭력방지 방안에 대해서는 “국회 스스로 폭력의 폐습을 끊는 개혁을 시작해야 한다”며 “야당의 반대로 1년 넘게 국회에 계류 중인 ‘국회 선진화 관련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설은 질의응답 없이 20여분 만에 끝났다. 회견장을 빠져 나가던 안 대표는 기자들의 질문공세에 극도로 말을 아꼈다. ‘정동기 사태’와 관련된 청와대 인사 담당자의 책임론에 대해선 “전혀 문책할 일이 아니다”면서 “당·정·청이 협의해 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