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대선 공약 ‘과학비즈니스벨트’… ‘제2의 세종시 사태’로 확대되나

입력 2011-01-10 18:07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입지 선정 문제가 새해 벽두 정치권의 핫이슈로 떠올랐다. ‘제2의 세종시 사태’로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명박 대통령은 2007년 대선 당시 과학벨트를 충청권에 두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지난 연말 국회를 통과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는 충청권에 유치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6일 청와대 관계자가 과학벨트 입지를 전국으로 확대·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이시종 충북, 안희정 충남지사 등이 즉각 반발하는 상황에서 대구와 경북, 광주와 경기도까지 과학벨트 유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 간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충청권 민심이 들끓자 한나라당은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대전시장을 지낸 박성효 최고위원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과학벨트를 상반기에 지정하겠다고 했고 청와대 비서관은 대선 공약의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했다”며 “충청권에선 세종시 논란의 재판이 되는 것 아니냐는 분노가 감지된다”고 민심을 전했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세종시에 과학벨트를 넣으면 자족도시가 되고 과학기술의 메카도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당 지도부는 비공개 회의에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지지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충청권을 지역구로 둔 야당 의원들도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노영민 의원은 “과학벨트는 대통령의 대선 공약집에도 못박혀 있다”며 “충청권이 세종시처럼 들고 일어나야 정신을 차리겠느냐”고 경고했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사무총장은 “대통령이 직접 나서 충청권 입지를 밝혀 달라”고 촉구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