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저축은행 매각 6∼7곳 거론
입력 2011-01-10 00:31
금융지주회사의 저축은행 인수 대상으로 6∼7곳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이들 외에도 향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저축은행까지 인수합병(M&A) 시장에 내놓겠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꺼번에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도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지주사들이 저축은행 인수를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현재 인수 대상으로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으로 떨어져 적기시정조치를 받았거나 부실이 심화할 우려가 있는 업체, 이미 시장에 매물로 나온 업체 가운데 6∼7곳 정도가 지목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미 매물로 나와 있는 삼화, 전주, 중앙부산 등과 PF 부실 우려가 큰 일부 업체가 최우선 매각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금융지주들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우리금융은 저축은행 인수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상반기 중 인수를 마치고 저축은행 2곳 이상을 인수해 계열사로 편입시킬 계획이다. 하나금융과 신한금융도 내부적으로 인수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지주들은 자체적으로 후보군을 추리면서도 정부와 협의해 매물을 고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는 조만간 부실 저축은행 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대책에는 향후 부실 가능성이 큰 저축은행들도 매각 대상에 다수 포함시키는 내용이 들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개별 저축은행 단위로 1∼2곳씩 이뤄져 왔던 처리 방식과는 달리 업계 전체를 대상으로 동시다발적 집단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향후 저축은행을 인수한 금융지주사들에 대한 정부 지원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금융지주사들이 부채가 자산을 초과해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저축은행을 인수할 때 예금보험공사의 예금보험기금을 통해 순자산 부족분을 메워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금의 장기저리 대출과 예보가 해당 저축은행의 부실자산을 인수하는 방안 등도 대책에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