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끈질긴 개헌론 띄우기… 트위터 통해 ‘분권형’ 찬반 물어
입력 2011-01-09 18:35
여권 내 ‘개헌 전도사’로 불리는 이재오 특임장관이 9일 자신의 트위터에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에 대한 찬반을 묻고 나섰다. 최근 들어 여당에서도 ‘개헌 불가’ 목소리가 높아지자 구체적인 개헌 방향을 제시하며 불씨 살리기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이 장관은 “대통령은 4년 중임으로 국민이 직선하고, 내각은 국회에서 구성하고, 대통령은 외교 국방 통일에 관한 권한을 갖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제안한다”며 “찬반 의견을 주십시오”라고 적었다. 또 “청렴 공정 사회가 이 시대의 국민적 소망이고 권력이 독점되면 부패와 갈등, 정쟁 분열이 끊이질 않는다”를 분권형 대통령제 제안 이유로 들었다.
측근은 “이 장관은 이미 헌정회 신년회와 자유총연맹 신년교례회 등 연초 행사에서 같은 기조로 얘기했다”면서 “이제 자신과 소통하는 트위터 팔로어들에게 정치적 소신을 알리고 의견을 들어보자는 차원에서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장관의 트위터 팔로어는 1만1657명에 달한다. 상대적으로 친밀하게 느끼는 이들을 통해 직접 개헌 여론을 수렴해 보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이 장관은 지난 7일 헌정회 신년회에서 “국민 여론조사 결과, 70%가 개헌 필요성에 공감한다. 헌정회원의 84%가 개헌에 찬성한다는 설문조사를 봤다”고 강조하다 개헌에 반대하는 이만섭 전 국회의장으로부터 비판당한 바 있다.
당 안팎에선 이 장관의 이런 행보가 사그라지는 개헌론에 불을 지피기 위한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이달 말로 예정된 한나라당의 개헌 관련 의원총회를 앞두고 친이명박계 의원들의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이미 친박근혜계뿐만 아니라 친이계 의원들 사이에서도 개헌 불가론은 물론 현 시점에서의 개헌 논의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비판적 인식이 확산된 상태다.
한 친이계 의원은 “이 장관이 개헌을 통해 이슈를 주도하면서 본인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설사 개헌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이 장관으로서는 “할 만큼 했다”는 명분을 쌓은 만큼 별로 잃을 게 없다는 얘기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