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방역실태 살펴보니] 충남 서천, 인접지 발병 4일 지나 초소 설치

입력 2011-01-07 18:25


울산의 한우농가에는 사료로 쓰일 볏짚이 소독 절차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반입됐다.

충남 서천에서는 인접한 보령에서 구제역이 발병한 지 4일이 지난 뒤에야 이동통제 초소가 설치됐다. 충북 충주에서는 축산 관련 차량이 내부 소독을 하지 않고 버젓이 축산 농가를 들락거렸다.

구제역으로 살처분 및 매몰된 소·돼지가 107만 마리를 넘었고, 총 피해 규모가 1조원에 육박한 7일 정부 구제역 방역태세 합동점검반이 본 우리나라 방역 실태다. 정부는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행정안전부 등 5개 부처 공무원 16명을 8개 반으로 나눠 11개 시·군의 방역 실태를 점검했다.

점검 결과 보고서에는 전남 곡성처럼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장례식장과 예식장에 소독 매트를 설치하거나 강원도 삼척처럼 이동통제 초소 동력 분무기 외부를 보온재로 감싸 혹한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는 등의 수범 사례도 들어 있었다.

하지만 대다수는 보완해야 될 사항으로 채워져 있었다. 그만큼 방역에 허점이 많다는 뜻이다.

경북 구미시는 구제역이 발생한 포항 지역에 지원한 제설장비 및 운전자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경산과 청도군은 차량 내부를 소독할 수 있는 휴대용 소독기를 각 이동통제 초소마다 비치 운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안성은 살처분 매립지 사전 선정 작업이 미흡했고, 충북 증평군은 축산관리 차량에 대한 방역이 허술했다.

농식품부의 ‘구제역 긴급행동지침’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이 지침에는 구제역은 사람이나 차량과 같은 매개체를 통해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구제역 위험 지역을 출입한 차량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요충지에 이동통제 초소를 설치하고 우회로가 없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충남 서천군은 지난해 12월 13일 처음 구제역 초소 1곳을 설치한 데 이어 12월 25일(2곳), 1월 2일(1곳), 1월 7일(1곳) 등 드문드문 설치했다. 특히 이날 통제 초소가 설치된 서면 부사리 부사방조제 옆 지방도로는 지난 3일 구제역이 발생한 보령군으로 연결돼 있어 하루 수천대의 차량이 통행한다. 최소 나흘간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에 무방비였던 셈이다. 군 관계자는 “이동통제 초소를 설치하면 민원이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고심할 수밖에 없다”며 “보령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뒤에는 소독시설 업자를 구하기 어려워 초소 설치가 늦어졌다”고 말했다.

황일송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