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함바집 비리 낱낱이 파헤쳐라

입력 2011-01-07 17:40

공직사회에서 썩은 내가 진동한다.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공직자들의 비리와 불법행위가 국민들을 허탈감에 빠뜨리고 있다. 무려 180차례나 카지노에 들락거린 중앙부처 1급 공무원을 비롯한 공직자들의 무더기 도박, 직원들의 출장비를 정기적으로 상납 받은 공기업 임원,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가 입법 로비를 위해 직·간접적으로 접촉했다는 140명의 국회의원들, 그랜저 검사…. 악취가 진동하는 공직사회의 슬픈 자화상이다.

급기야 범죄소탕과 사정활동의 한 축을 담당하는 전·현직 경찰 수뇌부까지 수뢰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기에 이르렀다.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는 함바집(건설현장 식당) 운영업자 유모씨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강희락 전 경찰청장과 이길범 전 해양경찰청장을 출국 금지시켰다. 특히 강 전 청장은 경찰 승진 청탁을 받고 유씨로부터 억대의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입이 닳도록 공정한 인사, 경찰 개혁, 토착 비리 척결을 외쳐 온 강 전 청장의 수뢰 의혹이 불거지면서 경찰은 물론 국민들도 큰 충격을 받았다. 경찰청장과 해양경찰청장이 비리에 연루된다면 누가 부하 직원들에게 청렴을 주문할 수 있겠는가.

검찰은 여야 의원 2∼3명, 전직 장·차관, 현직 경찰 간부 10여명, 공기업 고위 임원들, 지방자치단체 간부들이 유씨로부터 금품을 받은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함바집 비리 사건이 군 검찰 법원 경찰을 상대로 브로커 활동을 한 윤상림씨 로비 사건과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강 전 청장을 비롯해 수뢰 의혹을 받고 있는 인사들은 언론을 통해 억울함을 주장하지 말고, 자진 출두해 검찰 조사에 임하는 것이 순리다. 동부지검은 대검찰청이나 서울중앙지검의 지원을 받아서라도 관련 인사들의 의혹을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 근절되지 않는 경찰의 인사 청탁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해서라도 강 전 청장의 혐의는 반드시 밝혀내기 바란다. 검찰, 경찰, 감사원,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 등 사정기관은 공직사회 기강 세우기에 발 벗고 나서길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