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축산인 검역 강화”… 정부, 100만 마리 소·돼지 잃고서야 ‘뒷북’

입력 2011-01-06 18:32

구제역으로 100만 마리에 가까운 소·돼지를 잃고서야 정부가 뒷북 대책을 내놨다. 해외여행을 하고 돌아온 축산농가나 수의사 등 축산인들은 앞으로 검역 당국에 신고하고 소독과 방역 교육을 받아야 입국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7일부터 소 외에 충남북과 경기 남부 지역의 씨돼지(종돈), 어미돼지 21만 마리에 대해서도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을 하기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6일 법무부, 관세청과 합동으로 축산인에 대한 국경검역 시스템을 강화해 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해외여행 후 귀국할 때 입국심사 과정에서 축산인으로 확인되면 반드시 소독과 방역 교육을 받아야 입국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해외여행을 한 축산인이 입국할 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검역기관에 자율적으로 신고토록 유도했으나 신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농식품부는 또 돼지에도 구제역 백신 접종을 실시하기로 했다. 접종 지역과 대상은 경기 안성·이천·여주·평택, 충남 보령·홍성·당진·서산·천안·서천, 충북 진천·충주·괴산 등 13개 시·군 1456농가의 씨돼지 9000여 마리와 어미돼지 20만 마리 등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구제역 발생 돼지농가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사람과 접촉이 많은 분만 축사에서 주로 감염이 된 점 등을 감안, 씨돼지와 어미돼지에 대해 예방접종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충북 음성의 돼지농가 1곳과 한우농가 1곳, 충남 당진과 경기 안성의 돼지농가에서도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했다. 또 전남 구례의 오리농가와 함평 씨오리(종오리) 농가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AI) 의심 증상이 잇따라 신고됐다.

정부는 구제역 백신이 부족함에 따라 일본 정부가 갖고 있는 백신 50만 마리분 가운데 20만 마리분을 빌려오기로 했다. 유정복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구제역 관련 긴급 관계장관 회의에서 “8일까지 125만 마리분, 15일까지 125만 마리분, 30일까지 400만 마리분 등 모두 650만 마리분의 백신을 이달 말까지 확보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이 대통령은 “설 연휴 때 귀성객을 비롯한 인구 이동이 굉장히 많을 것”이라며 “치밀하고 철저한 대비책을 세우라”고 지시했다고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연간 (해외) 여행객이 1500만명 나가고 800만명이 들어오는데 검역도 검역이지만 백신 확보 등 근본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구제역 확산이) 연중 행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명희 남도영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