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금융기관 신년 하례회… “금융시장 실패 예상땐 정부 개입”
입력 2011-01-05 18:37
정부가 새해 금융권에 잇따라 경고성 발언을 던졌다. 금융당국 수장들은 저축은행 부실 사태 같은 금융 시장의 실패가 예상될 경우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임을 내비쳤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범금융기관 신년 하례회에서 “실물 경제의 안정을 뒷받침하려면 금융부문의 건전성 제고가 필요하다”면서 “리스크 요인을 잘 관리해 체질을 개선하고 비핵심부채의 관리와 자본 확충을 통해 대외충격에 흔들리지 않는 체력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소신파로 꼽히는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금융회사의 무분별한 이익추구는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훼손하고 국민경제 전체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어느 분야보다 확고한 윤리의식과 책임감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시장의 실패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역할을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의 개입을 거듭 강조했다.
윤 장관과 김 위원장의 강경 발언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잇따라 불거진 금융권의 실패 사례에 대한 경고성으로 읽힌다. 금융위기 이후 한국 경제는 밖으로는 글로벌 환율전쟁 등으로 인한 부담, 안에서는 부동산 시장 붕괴·저축은행의 부실 및 대형 인수·합병(M&A)의 잇단 좌초 등으로 인해 건전성에 빨간 불이 들어왔었다.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 문제와 관련해 나름대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고 기본 방향은 이미 결심이 서있다”면서 “몇 가지 과제는 빠른 시간 내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복수 저축은행에 대한 인수 의사를 밝혔다. 이 회장은 “금융 산업 전체를 볼 때 저축은행이 안정화가 안 되면 1금융권에도 파급이 올 수 있다”면서 “저축은행 1∼2곳을 인수하고 잘 지원하면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저축은행권 자체 구조조정과 M&A가 어렵게 되고 캠코를 통한 부실털기가 한계에 봉착하자 정부가 부실해소 방식을 우리은행 등 은행권 동원 쪽으로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지주는 부실 저축은행 여러 개를 저가에 사들인 뒤 정상화 시켜 하나로 합칠 구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정부가 순자산부족분을 보전해주는 조건으로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한 뒤 은행의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금융 인력도 파견하면 정상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우리 경제가 물가 안정 기반 위에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유동 자금이 대규모로 유출입 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도 있다”면서 “글로벌 금융규제 개혁이 가져올 영향을 예측하고 필요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