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여야 ‘조중동 종편’ 셈법·행보

입력 2011-01-05 21:43


野 “종편은 국민향한 대량살상무기” 특혜저지 총력전

정부의 종합편성채널 선정 결과를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이해관계가 극명하게 나뉘면서 양측의 후속 행보도 엇갈리고 있다. 민주당은 신년 초부터 긴급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슈화에 들어간 반면 한나라당은 여론의 추이를 살피면서 관망하는 모양새다.

◇민주당은 공세, 한나라당은 관망=민주당은 ‘조·중·동 특혜 방송 절대 반대’를 외치며 연일 공세를 퍼붓고 있다.

조선·중앙·동아일보와 매일경제 등 보수 언론이 한꺼번에 선정되면서 과다 출혈경쟁이 우려되는 것은 물론이고, 내년 총선 및 대선 과정에서 보수 종편의 편파보도에 밀려 힘 한번 쓰지 못하고 패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종편 토론회에 참석해 “참으로 무책임한 이명박식 삽질경제의 결과”라며 “여론을 완전 독점하는 것도 문제지만 결국엔 작은 광고시장에서 후폭풍이 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향후 언론·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종편 선정의 폐해와 부당성을 알리고, 종편 특혜 저지를 위한 강력한 투쟁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미 종편사업자가 선정된 만큼 국회 안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현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당 핵심 관계자는 “올 하반기에 종편이 방송되기 시작하면 각종 문제점이 드러나게 될 것”이라며 “국민들이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그 책임을 물어 정부여당을 심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조·중·동에 종편을 몰아준 것은 다소 무리였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러나 악재보다는 호재가 많다는 판단이 우세하다. 정부가 특혜 논란에 휩싸이더라도 방송 광고시장을 키워 종편이 안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가 힘을 받는 이유다.

친이계 한 의원은 “조·중·동 가운데 1∼2곳만 해줬다면 또 다른 비판이 있었을 것이고, 정치적 부담 역시 컸을 것”이라며 “종편 전체가 살아남든 일부가 살아남든, 도태되는 종편의 신문까지 몰락하지 않는 한 우파 진영의 스피커가 많아지는 것은 우리에게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권 일각에서는 후폭풍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대개 나이 든 연령층이 TV를 많이 보는데 이들은 이미 보수 성향”이라며 “젊은 층을 다독여야 하는데, 수도권 30∼40대는 이번 종편 선정 과정을 부정적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종편은 4마리의 식인상어(?)=민주당 최문순 의원과 시민단체 ‘미디어행동’이 공동 주관한 긴급 종편 토론회는 종편 선정의 부당함을 쏟아내는 성토장이었다.

참석자들은 종편의 황금채널 진입 및 의료기관과 전문의약품 광고 허용, KBS 수신료 인상 등의 문제점을 집중 제기했다.

민주당 천정배 의원은 “종편은 이 나라 탐욕 세력들이 국민들을 향해 쓸 대량살상무기이자 광고시장 같은 비좁은 수족관에 풀어놓은 4마리의 식인 상어”라며 “종편에 주려는 어떤 특혜도 우리가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준상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조·중·동의 종편 선정은 정치적 보은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고 연합뉴스의 보도채널 선정은 정권 재창출에 기여하라는 다독임”이라며 “조·중·동은 주식회사 형태의 유한회사, 가족회사”라고 비판했다.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4개의 종편이 출범하면 종편은 물론이고 지상파 방송의 적자전환도 불 보듯 뻔하다”며 “지역신문이 가장 먼저 피해를 입고, 도미노처럼 전체 신문의 공공성이 위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엄기영 한장희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