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론’ 다시 총대메는 김무성

입력 2011-01-04 18:21

새해 들어 정부·여당 내 개헌론 띄우기가 한창인 가운데 4일에는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가 총대를 멨다. 김 원내대표는 작심한 듯 유력 대선주자들이 입장에 따라 개헌 관련 말을 바꾸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한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해 “대통령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되고 5년에 한 번씩 단임제를 하는 것은 정말 잘못됐다는 증명이 나와 있다”며 “(개헌은) 여야 간에 합의만 보면 몇 달 안에 해낼 수 있다. 마지막까지 노력해 보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유력 정치지도자 또는 대권주자들도 다 개헌을 한다고 주장하다가 자기가 좀 유리해지면 ‘개헌이 되겠는가’ ‘시간이 늦었다’는 등 핑계를 대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꼬집었다. 김 대표 발언은 개헌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박근혜한나라당 전 대표를 겨냥한 것으로도 해석돼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다.

실제로 대구를 방문 중인 박 전 대표는 이날 기자들의 물음에 “그동안 제가 개헌에 대해 얘기했던 것을 쭉 보시면…”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2009년 9월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개헌 논의 필요성을 제기하자 “국민적인 공감이 필요하다”며 부정적 입장을 표시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도 “박 전 대표는 1998년 정치권에 들어온 이후부터 일관되게 4년 중임제를 주장했다”며 “그러나 무엇보다 개헌은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개헌 논의는 이재오 특임장관, 안상수 대표 등 친이계가 주도하는 양상이지만 그들 내부에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많다. 한 친이계 의원은 “현재 개헌이 성사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개헌을 이야기하는 분들도 개헌 논의를 던져 얻을 수 있는 정치적 효과에 관심이 더 많아 보인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여권이) 통일된 안도 만들지 못하면서 모든 실정(失政)의 이슈를 개헌으로 뽑아버리려는 정략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