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희 “경증환자 동네병원 가면 본인 부담 낮춘다”

입력 2011-01-04 21:57

앞으로 감기 등 가벼운 질병으로 대학병원에 가면 약값을 현재보다 두 배까지 낼 수 있다. 반면 동네 병원에 가면 진찰료가 지금보다 3분의 1이 줄어든다.

진수희 보건복지부장관은 4일 “당뇨나 고혈압 등 평상시 지속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을 선택하면 대형병원을 이용할 때보다 진료비, 약제비 등에서 환자의 본인 부담을 덜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학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쏠림 현상으로 동네 중·소형 병원이 고사하고 국민건강보험 재정 부담이 커지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현재 대형병원의 외래진료 중 의원급에서도 진료받을 수 있는 경증질환 비중은 32.5%에 이른다.

복지부는 현재 상급종합병원이나 동네의원 모두 30%인 약제비 종별가산금을 대형병원을 찾는 경증환자에 대해 40∼60%로 올리고, 현재 30%인 동네의원의 진찰료 본인부담률을 20% 등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예를 들어 고혈압 환자가 대학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으면 현재 건당 평균 약제비인 14만9160원 중 30%인 4만4750원을 부담하면 됐지만 본인부담률이 60%로 오르면 8만9500원을 내야 한다. 이 환자가 동네의원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약제비 4만2050원 중 30%인 1만2610원만 부담해야 하는 것과 비교하면 7만원 이상 더 내야 한다.

복지부는 오는 11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논의해 결정할 방침이다. 진 장관은 “선택 의원제가 제대로 정착되면 환자는 감기만 걸려도 비싼 진료비를 내고 대형병원에 갈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