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음료·빵값 ‘꿈틀’… 서민 가슴 ‘철렁’

입력 2011-01-04 21:17


과자, 빵, 음료 등 가공식품 가격 인상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말 설탕값이 오른 데 이어 밀가루값도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연초부터 서민경제는 불안한 상황에 놓였다.

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일부 제과업체가 과자류 가격을 7∼8%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4일 CJ제일제당이 설탕값을 평균 9.7% 인상한 데 이어 밀가루 가격도 이달 중순 15%가량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앞서 지난 1일 코카콜라음료도 코카콜라와 코카콜라 제로, 코크라이트, 코카콜라 체리 등 4개 브랜드 13개 품목 공급가격을 4.2∼8.6% 인상했다.

지난해 12월1일 음식점에 공급하는 코카콜라, DK, 환타 등 10개 품목 가격을 평균 3∼4% 인상한 데 이어 대형마트나 슈퍼마켓 등에 공급하는 품목의 공급가격을 올린 것이다. 네슬레도 커피제품 테이스터스 초이스를 품목에 따라 8∼12%가량 인상했다.

가공식품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가장 큰 요인은 원재료 값 상승이다. 밀가루의 원료인 원맥 국제가격은 지난달 말 기준 부셸당(1부셸=27.2㎏)794.2센트로 지난해 6월(420센트)보다 89% 이상 올랐다. 설탕의 원료인 원당 가격도 지난해 중반 파운드당 10센트 선에서 지난해 말에는 33센트까지 치솟았다.

식품업체들은 가격을 올리지 않기 위해 자구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거래처를 다변화하고 다른 비용을 절감하면서 원재료 가격 인상에 따른 이익 감소를 최소화해 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식품업계는 가격 인상에 대해 여론과 정부의 눈치를 살피고 있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가격 인상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도 가격 인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히고 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가공식품이 서민 경제와 밀접하다보니 어떤 업체도 조만간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공언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누구든 먼저 가격 인상의 물꼬를 터주길 바라면서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어느 한 곳이 가격을 올리면 도미노 현상처럼 잇따라 가격을 올릴 태세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13일 물가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올리기로 했던 공공요금 계획 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등 물가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주간 단위로 유가 예보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공공요금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묶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라며 “밥상물가는 비축량을 푸는 방안 등으로 가격 안정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김아진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