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고속철 수주 ‘종착역’ 보인다
입력 2011-01-03 18:30
“7부 능선은 넘었다.”
브라질 고속철도(TAV) 사업의 입찰을 3개월여 앞둔 가운데 우리나라의 수주전이 막판 스퍼트를 내고 있다. 총사업비가 23조원에 달하는 TAV 사업은 리우 데 자네이루∼상파울루∼캄피나스(511㎞) 구간을 철로로 잇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객관적 여건을 고려할 때 현재까지는 한국의 수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일본과 프랑스 등 주요 입찰 경쟁국들이 꺼내들 ‘마지막 카드’가 복병이다.
◇“한국, 유리한 고지 선점”…경쟁국 간 긴장감 고조=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자국의 고속철도 사업 입찰과 관련, “한국 기업이 가장 뛰어난 입찰 참가자 중 하나(‘원 오브 더 베스트’)”라고 말했다. 브라질을 방문한 김황식 국무총리가 예방한 자리에서다. 김 총리는 이에 대해 “우리 기업이 고속철도 (입찰) 준비를 잘하고 있다”면서 “우리 기업이 수주하게 되면 기술 이전 및 시공 기간 단축 등의 강점이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3일 국토해양부와 브라질고속철도한국사업단에 따르면 고속철 사업 입찰제안서 마감일은 오는 4월 11일. 우선협상대상자는 이로부터 3개월 뒤인 7월 21일 선정된다. 내년 초쯤 최종사업자 선정을 거쳐 내년 말 착공에 들어갈 경우 2018년쯤 공사가 완료될 전망이다. 국토부 철도정책과 관계자는 “다른 나라들보다 일찍 준비에 나선 우리나라가 현재까지는 유리하다”면서 “하지만 남은 기간동안 경쟁국들의 견제를 당하는 입장에서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브라질 현지 기업·민간자금 조달이 관건=TAV 사업 입찰 전반을 맡고 있는 한국사업단에 따르면 이번 수주전의 관건은 “현지의 민간 자본을 얼마나 유치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5년간 건설한 뒤 40년간 운영권을 갖고 양도하는 민간투자방식(BOT)으로 진행되는 TAV 사업은 총사업비의 30%를 민간에서 조달토록 돼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국과 브라질의 현지 업체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했을 때 가장 유리하다”면서 “유능한 현지 파트너(기업)를 찾느냐 못 찾느냐가 수주 성패를 가르는 잣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 말, 삼성과 LG, SK, 현대자동차 등 주요그룹 계열사 15곳과 브라질 투자회사, 현지 건설업체 10여곳이 참여하는 한국·브라질 컨소시엄을 출범시킨 상태다. 경쟁국들 역시 현지 업체 유치전에 열을 올리면서 수주전은 종착역을 향해 달리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