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탁=패가망신’ 되살아 났다… 전북 지자체·교육청, 충격요법 눈길
입력 2011-01-03 17:51
전북지역 자치단체와 교육청이 인사 청탁을 하지 말라는 뜻으로 각종 충격 요법을 쓰고 있다. 청탁자 명단 공개는 물론 실제 사례를 들어가며 비리 척결 의지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3일 전북도내 기초자치단체와 교육청 등에 따르면 최근 익산시 내부 행정전산망 ‘인사발령 게시판’에 정보 한 건이 올라왔다. 순식간에 큰 파문을 일으킨 이 정보는 올해 상반기 정기인사를 앞두고 인사 청탁 로비를 시도한 직원 명단이었다.
시 인사부서가 이날 공개한 사람은 사회복지과, 주택관리과, 징수과, 의회사무국 각각 1명씩 모두 4명. 비록 실명은 알리지 않고 부서와 직급만 공개했지만 동료라면 누구인지 짐작하기에 충분했다.
그 뒤에는 “시장, 부시장께서 인사 청탁자는 공개하고 불이익을 주겠다고 했으나 아직까지도 일부 직원들이 잘못된 관행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불미스런 일들이 있어 공개한다”는 글이 적혔다.
유기상 부시장은 “차후에 이같은 청탁이 이어질 경우 그 때에는 실명을 공개하고 공직 퇴출 등 불이익을 주겠다”고 엄중 경고했다.
이와함께 송하진 전주시장은 지난 연말 간부회의에서 작정한 듯 말을 꺼냈다. 송 시장은 이자리에서 “버스파업 등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 인사부탁을 하고 다니는 직원들이 있다. 자기 안위만을 위하는 사람들은 승진에서 가장 먼저 배제시키겠다”고 말했다.
송 시장은 “취임 일성으로 발표한 것이 인사 부탁하지 말라는 것이었는데, 아직도 내 성격을 모르는 직원들이 있는 것 같아 유감”이라며 일부에서 여전한 인사 청탁 움직임에 대해 쐐기를 박았다.
또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간부회의에서 한 학교장의 일화를 소개했다. 교육감에 따르면 한 학교장의 부인이 교육감 부인에게 명절 선물을 건네려다 거절당하자 학교장이 “교육감님 제가 잘못 판단했습니다”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내왔다. 이에 교육감이 ‘교장선생님 오늘 대단한 결례를 하셨습니다. 제가 그렇게 의지를 표명했는데도 그럴 수 있습니까’라는 질책성 문자를 보냈다.
이에 그 교장이 교육감에게 전화해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사죄의 입장을 밝혔지만 화만 키운 꼴이 됐다. 김 교육감은 이날 “충성한다는 게 현직 교장이 할 소리인가”라고 반문하며 “이 땅에서 교육자로 살아간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봐야한다”고 일침을 놓았다.
익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