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처 개각후… 핵심라인 ‘모피아’ 장악 ‘5% 성장’ 박차 가할 듯

입력 2010-12-31 18:16

31일 내정된 지식경제부와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수장들이 모두 기획재정부 출신으로 채워지면서 향후 경제정책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사실상 유임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을 필두로 옛 재무부 출신(모피아)이 핵심경제 라인을 장악, 확고한 ‘모피아’ 체제 하에 ‘5% 성장’이라는 정부의 경제 정책 추진에 박차가 가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경중 지경부 장관 내정자는 재무부 시절 금융정책통으로, 대통령실 경제수석을 거치면서 대통령의 동반성장 정책을 진두지휘해 왔다. 이 때문에 이명박 대통령이 강조해 온 ‘동반 성장’의 정책 방향을 실물경제에 바로 적용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 경제 분야에서 활동했던 경험 등을 살려 무역 확대 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힘을 쏟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 내정자도 내정소감을 밝히면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확산에 정책의 중점을 두겠다”면서 “이와 함께 신성장동력 육성, 자원에너지 협력 강화에 키포인트를 두겠다”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장에 내정된 김동수 전 수출입은행장은 물가·소비자권익 전문가다. 동반성장을 전제로 한 물가잡기에 정책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예상과 달리 공정위원장이 교체된 것에는 ‘공정사회 구현’이라는 현 정부의 기치를 실현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 내정자도 “지금 대통령이 집중하는 국정철학이 공정사회 구현”이라면서 “(저의 공정위원장 내정은) 공정위가 앞장서 속도감 있게 진행해 달라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 내정자는 평소 금융시장 안정과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론을 강조해 왔다. 때문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금융시장에 주어진 금융산업 선진화와 서민금융 안정화 등의 당면과제가 최우선시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또 김 내정자의 과거 별명이 ‘대책반장’일 정도로 각종 현안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입해 왔다는 점에서 현재 느슨해져 있는 구조조정 대상 기업 매각 작업에 박차가 가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기관들에 대한 감독 기능도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조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