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넘긴 태광 수사 조만간 매듭 짓나

입력 2010-12-31 17:53

수사 초기 본사와 계열사 여러 곳을 압수수색하며 자신감을 보였던 태광그룹 비자금 수사가 결국 해를 넘기게 됐다. 수사는 지난 10월 13일 그룹 본사 압수수색 이후 80여일간 진행됐다. 검찰은 빠른 시일 내 수사를 매듭지을 계획이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이원곤)는 오는 3일 이호진 회장을 소환조사하기 위해 구체적인 일정을 회사 측과 조율 중이라고 31일 밝혔다. 돈 관리를 총괄한 이 회장의 모친 이선애 태광산업 상무도 곧 소환조사하기로 했다. 검찰 관계자는 “최근 임직원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룹 비자금 운용에 대한 결정적 진술을 확보해 이 상무의 혐의를 대부분 입증했다”고 말했다.

2007∼2010년 태광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태광산업 감사위원장 겸 사외이사로 재직한 전성철 세계경영연구원장(변호사)은 연구원 웹사이트에 올린 칼럼을 통해 “금융당국이 2006년 태광그룹의 대규모 차명주식 거래를 파악하고서도 실제 자료 요청이나 당사자 조사를 전혀 하지 않았다”며 정경유착 가능성을 제기했다.

전 원장은 “회사에 이 회장의 편법거래 의혹 관련 자료를 요청했더니 ‘이 상무가 차명계좌를 만들어 모든 거래를 했다’는 답이 왔다”며 “이후 금융감독원도 차명계좌의 실주인으로 지목된 이 회장과 이 상무를 한 번도 조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전 원장은 2008년 초 그룹 측이 차명계좌로 주식과 채권 수천억원어치를 부당 거래했다는 전 직원의 제보를 받아 태광산업에 진상조사를 요청했지만 당시 다른 사외이사 2명과 감사위원들이 회사와 동조해 묵살 당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당시 사외이사였던 남모씨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다른 사외이사들이 회사 편만 들었다는 내용은 전 원장이 100% 정확하게 쓴 게 아니다”며 “본인 생각을 쓴 것이라 내가 설명할 내용도 없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