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1 개각] 李대통령, 수시로 전화하며 모의청문회 챙겨

입력 2010-12-31 21:32

이명박 대통령은 ‘12·31’ 인사와 관련, “검증과 청와대 자체 모의청문회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바로 내정자를 교체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국회 인사청문회 검증과 여론을 의식했다는 얘기다. 이 대통령은 모의청문회 중간에도 참모들에게 전화를 걸어 “별 문제가 없느냐”고 확인했다고 한다.

청와대는 당초 내년 초 인사를 단행한다는 방침이었으나, 자체 모의청문회 결과 특별한 하자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판단 아래 발표했다. 인사청문회 대상인 정동기 감사원장,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자체 모의청문회는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진행됐다. 보안을 우려해 임태희 대통령실장이 직접 차를 보내 후보자들을 데려왔다는 후문이다. 나머지 장관·차관급 내정자들은 200여개 항목의 자기 검증서를 작성했다.

김영란 국민권익위원장 내정자는 청와대가 ‘삼고초려(三顧草廬)’ 끝에 모셔왔다. 당초 김 내정자는 “학교(서강대 로스쿨)에 간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그만두기 어렵다”며 청와대 제안을 고사했다. 그러나 임 실장이 직접 나서 김 내정자와 김 내정자의 남편인 강지원 변호사를 설득했고, 제안 5일 만에 김 내정자가 국민권익위원장직을 수락했다는 후문이다. 이 대통령과 김황식 총리의 인사 협의는 2011년 업무보고 관련 장·차관 합동토론회 직후인 30일 청와대에서 이뤄졌다. 김 총리는 임명제청 절차를 마친 다음 이날 오후 브라질 등 남미 3개국 순방을 위해 출국했다.

청와대 인사와 함께 김두우 기획관리실장의 기획관(수석급) 승진도 이뤄졌다. 김 실장에 대한 이 대통령의 신임을 보여주는 승격이라는 평가들이 나온다. 그러나 2009년 8월 청와대 조직개편에서 인사시스템 강화를 이유로 신설됐던 인사기획관 자리는 1년 4개월째 공석이다가, 결국 이번 인사에서 사라졌다. 공정성과 청렴성, 폭넓은 대인관계를 갖고 있으며 여권 내 여러 세력으로부터 두루 인정받는 ‘적임자’를 끝내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남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