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치 판이 바뀐다] 남북 대치·잠룡 행보·재보선 등 변수 널려 안갯속
입력 2010-12-31 16:48
신묘년(辛卯年) 새해 정치권에선 ‘통합’이 최대 과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큰 선거가 없는 해지만 사회적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국회 비준동의 문제와 남북의 대립 등 갈등 요소들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사회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정치력 복원이 당면 과제로 부각되는 이유다.
하지만 정치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여야 모두 당내 갈등 요소가 여전한데다, 예산안 강행 처리에 따른 대립 역시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대선 행보를 벼르고 있는 여야 잠룡들 간의 눈치싸움 역시 갈등 요소다. 신년 정국 기상도는 ‘잔뜩 흐림’인 셈이다.
정국의 초반 흐름을 좌우할 변수는 세밑에 전격 단행된 개각이다. 이명박 정부는 개각을 통해 집권 4년차의 권력누수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핵심 국정과제에 전력투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야당이 “측근을 위한 회전문·돌려막기 인사”라며 반발하고 있어 향후 국회 인사청문회가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정국 주도권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인사가 청문회 검증에 걸려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게 되면 현 정부의 레임덕은 불가피해진다.
4월 27일로 예정된 상반기 재·보궐선거는 내년 대선·총선의 전초전 성격인 만큼 여야간 총력전이 예상된다. 경남 김해을과 경기도 성남 분당을 등에서 열리는 선거 결과에 따라 각 당 지도부의 희비가 갈리는 것은 물론 권력 지형에도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하다. 한나라당이 패배할 경우엔 지도부 교체 여론이 비등할 수밖에 없고 잇따른 말실수 등으로 궁지에 처한 안상수 대표의 거취 논란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당이 일찌감치 2012년 총선을 대비한 체제로 재편되면서 친이계 분화 등 후폭풍에 빠져드는 상황도 가정할 수 있다.
6·2 지방선거에서 여당의 패배로 반사이익을 얻긴 했지만 존재감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민주당 역시 재·보선이 변수다. 민주당으로선 여권 견제 못지않게 국민참여당 및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과의 ‘야권 연대’를 성사시킬 수 있느냐가 관심거리다. 연대를 성사시켜 승리한다면 손학규 대표는 리더십 논란을 잠재우고 국정의 주도권을 거머쥐게 되지만 패배한다면 내홍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한 손 대표로선 자칫 헤어나기 어려운 수렁에 빠져들 수 있다.
여야 잠룡들의 행보도 상반기 중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말 ‘한국형 복지구상’을 공개하고 싱크탱크 성격의 ‘국가미래연구원’을 발족시킨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연초 각 분야의 정책구상을 밝히며 대세 장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문수 경기지사의 대북 강경 발언이나, 오세훈 서울시장의 무상급식 갈등도 대권 행보와 무관치 않다는 점에서 두 사람 역시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다. 정몽준 전 대표와 홍준표 최고위원도 경쟁에 뛰어들 개연성이 높은 후보군이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여권내 주류인 이재오 특임장관의 움직임이다. 정치권에서는 그가 상반기 재·보선 이후 친이계 주류의 정권 재창출을 위한 작업에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손 대표와 정동영 정세균 최고위원 등이 본격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걸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참여당의 유시민 정책연구원장과 무소속 김두관 경남지사 등도 판도에 따라 대권 경쟁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