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선정 한국교회 10대 뉴스] (8) 타종교와의 갈등

입력 2010-12-29 17:35

올해 템플스테이 예산지원과 KTX 울산역 명칭문제로 종교편향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매년 185억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되는 템플스테이의 문제점을 처음 제기한 곳은 대구기독교총연합회(이하 대기총)다. 대기총은 “팔공산에 1200억원이 투입되는 불교테마공원 사업이야말로 종교편향의 대표적 사례며, 그 핵심에는 한국불교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목적으로 한 템플스테이가 들어 있다”며 반대운동을 펼쳤다.

지난 6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대기총과의 면담에서 사업 재조정 의사를 밝혔지만 반발이 거세지자 조계종 총무원장을 찾아가 사과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결국 불교테마공원 사업은 백지화됐지만 총 82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템플스테이 사업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KTX 울산역 명칭 논란은 지난 7월 울산기독교총연합회가 “신설역 명칭에 통도사를 부기해서는 안 된다”고 반발하면서 시작됐다. 논란 끝에 역명은 ‘울산역(통도사)’로 결정됐다. 이런 논란 가운데 일부 청년들이 인터넷에 올린 ‘봉은사 땅 밟기’ 동영상은 한국교회의 이미지를 추락시키는 역할을 했다.

올해 종교편향 문제가 봇물처럼 터져 나온 것은 ‘뚜껑을 열어보니 종교차별은 오히려 문제를 제기했던 특정종교에 있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부터다. 오랜 기간 불이익을 감수해온 영남권 교계는 2008년 특정종교가 만들어 놓은 엄격한 종교차별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문제를 이슈화시켰고 ‘종교차별 프레임’은 설득력을 잃게 됐다.

한편 ‘포교냐 문화냐’는 논쟁 속에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종교평화를 이유로 침묵했다. 이광선 한기총 대표회장은 최근 전통문화 보호를 위해 템플스테이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