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수출 종합시스템 구축 시급하다
입력 2010-12-27 18:55
어제는 제1회 원자력의 날이었다. 지난해 12월 27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를 수주했다는 낭보가 전해졌고 정부는 이를 기념해 원자력의 날로 지정했다. 공사비 40억 달러(약 47조원)의 UAE 원전 수주는 기술 한국의 미래를 상징하는 것처럼 새로웠다.
그러나 첫 번째 맞는 원자력의 날 분위기는 밝지 못했다. 정부가 UAE 원전 수주를 계기로 글로벌 원전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앞세웠지만 지난 1년 동안 기대했던 원전 추가 수주는 없었기 때문이다. 되레 성사를 눈앞에 뒀던 터키 원전 수주마저 뒤늦게 뛰어든 일본에 빼앗길 처지다.
UAE 원전 수주 직후, 요르단과 연구용 원자로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등 원전 수출 전략은 본 궤도에 오르는 듯 했다. 하지만 정작 지난 5월 요르단은 상용 원전 건설 우선협상대상자로 일본과 프랑스를 택했고, 이어 9월 베트남 원전은 일본이 공사를 따냈다.
세계 곳곳의 원전 수주전(戰)에 다 뛰어들 필요는 없다. 원전은 건설에서 운영에 이르기까지 십수 년씩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이기에 수익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최근 원전 건설이 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기법으로 추진되면서 수주자의 자금능력이 수주전의 관건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터키 원전의 경우도 건설 후 얻게 되는 전기요금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라서 한국은 수주 경쟁력에 한계를 드러내고 말았다. 원전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를 취급한 경험이 없는 국내 은행에 기대기도 쉽지 않고 결국 외국 은행에 의존하면 금융비용이 커져 수익구조가 악화되기 때문이다.
한국형 원전의 경쟁력은 건설단가 및 발전단가가 경쟁국들에 비해 20∼30% 싸다는 데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자금 동원 및 운용 능력이 보완되지 않으면 수주전 초반부터 발주처의 외면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원전 관련 핵심기술 자립화 노력과 더불어 대형장기투자를 전제로 한 금융권과의 연계를 포함하는 한국형 원전수출 종합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