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싱크탱크 국가미래硏 출범] ‘신촌학파’ 중심 80%가 교수… 朴의 브레인들 떴다

입력 2010-12-27 21:32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정책 구상을 뒷받침할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이 27일 공식 출범했다. 박 전 대표가 새해부터 차기 대권을 향한 정책 행보에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박 전 대표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발기인 총회에서 “우리는 지금 새로운 국가 발전의 기로에 서 있다”며 “많은 난제가 놓여 있지만 여러분이 계시기에 극복할 수 있고, 우리나라를 진정한 선진국으로 만들 수 있는 대업도 이룰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들은 창립취지문에서 “지역과 계층과 부문이 화합하고 강한 경제가 역동적으로 움직여 모두가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풍요롭고 자유로운 선진 대한민국을 만들고, 세계 모든 나라와 함께 자유와 평화가 넘치는 문화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데 이바지하기 위해 연구원을 창립한다”고 밝혔다.

◇누가 참여했나=연구원 발기인들은 출범식을 주도한 서강대 김광두(경제학) 교수를 원장으로 선출하고 김 교수와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 조대환 변호사 등 3명으로 이사회를 구성했다. 김 교수는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박 전 대표의 핵심 공약인 ‘줄푸세’(세금 줄이고, 규제 풀고, 법질서 세운다)를 착안해냈다.

연구원은 박 전 대표를 포함해 외교안보, 거시금융, 법정치, 산업무역경영, 보건의료안전 등 15개 분야 전문가 78명의 이름을 공개했다. 주축은 김 교수와 신 교수, 김영세 연세대 교수 등 대선 경선 때부터 박 전 대표의 ‘브레인’ 역할을 해 온 그룹이다. 교수가 80% 정도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변호사와 전직 관료, 의사 등 다양한 직업군이 포함됐다.

발기인 중에는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의 종편·보도채널 심사위원장으로 임명된 이병기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와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대통령을 보좌했던 윤병세 전 외교안보수석이 눈길을 끌었다.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자문단 일원인 이정민 연세대 국제대학원장, 한석희 연세대 교수도 이름을 올렸다. 연구원 관계자는 “공개되지 않은 인사도 꽤 있다”고 말했다.

◇눈에 띄는 신촌학파, 고대 교수는 단 1명=참여 교수들의 출신 학교는 연세대(6명) 서울대(5명) 서강대 영남대(이상 4명) 이화여대(3명) 순이다. 박 전 대표의 모교인 서강대를 비롯, 연세대 이화여대 등 서울 신촌 지역 학교 출신이 많은 점이 흥미롭다. 반면 고려대 출신은 기업 합병 분야의 조명현 교수 1명에 그쳤다. 한 관계자는 “고려대 교수들은 이름 공개를 꺼리는 분이 많았다”고 했다.

교수 외에도 고학찬 윤당아트홀 관장, 벤처기업 1세대 CEO인 김병기 애플민트홀딩스 대표이사, 하철원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교수, 삼성 SDI 부사장 출신인 홍순직 전주비전대 총장 등 현장 전문가들이 포함됐다. 정치권에서는 박 전 대표의 ‘경제 과외교사’로 불리는 이한구 의원과 17대 의원이었던 안명옥 차의과학대 교수가 참여했다. 과거 열린우리당과 자유선진당 활동에 가담했던 인사들도 일부 있다.

◇세 과시 없이 차분하게 진행=박 전 대표는 거시금융 분야 발기인으로 참가했으며 매달 회비 5만원도 낸다. 박 전 대표는 총회에서 테이블을 일일이 돌며 악수를 하고 인사를 건넸다. 김광두 교수는 “2008년 금융위기를 맞으면서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현상을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현실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겠다는 문제의식을 갖게 됐다”고 창립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박 전 대표 역시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있어 연구원에 회원으로 참여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총회는 차분하고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인사말 부분 외 나머지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발기인 외에는 방청도 허락되지 않았다. 친박계 의원 중에서도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과 비서실장격인 이학재 의원만 참석했다. 박 전 대표 측 핵심 관계자들은 “박 전 대표는 연구원의 일원으로 참여할 뿐”이라며 애써 의미를 축소하기도 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과 구제역 확산 등 정국이 어수선한 상황임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내년 초 박 전 대표 지지자가 무상 임대한 서울 마포에 사무실을 열고 정책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