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한나라는 자꾸 불지피는데 MB 또 長考?
입력 2010-12-26 20:56
내년 1∼2월로 예정된 개각을 둘러싼 정치권의 대(對)청와대 압박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청와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면서도 구체적인 인선 시기와 폭을 고심하는 분위기다. 여당인 한나라당은 이미 공개·비공개로 청와대에 조기 개각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고위 관계자는 2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조기 개각을 건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고, 안상수 대표가 이런 뜻을 청와대에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금 정치인이 입각하면 내년 총선까지 10개월 정도밖에 일하지 못한다”며 “개각 시 정치인은 줄이고 관료와 전문가를 입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인 장관이 2012년 4월 19대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2012년 2월 이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청와대는 당초 공석인 감사원장과 국민권익위원장, 교체가 확정됐던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식경제부 장관, 신설된 장관급인 과학기술위원장 등을 내년 초 순차 개각한다는 방침이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인사 수요가 계속 생기고 있으니 연내에 한두 자리라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검증 등을 고려하면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전했다. 고위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은 아직 특별한 의사를 표시한 적이 없다”고 전했다.
후임자 콘셉트도 청와대를 고민스럽게 만드는 대목이다. 현재 감사원장 후보군에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이, 국민권익위원장 후보로는 박형준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최근 한나라당을 탈당한 김대식 전 민주평통사무처장, 정 전 민정수석 등이 물망에 오르내린다. 대부분 이 대통령을 보좌했던 측근 그룹이다. 그러나 여권 관계자는 “측근을 발탁할 경우 민주당뿐만 아니라 여당에서도 반발 기류가 확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후보자 본인과 자제의 군 문제 및 재산형성 과정 등도 더 꼼꼼히 살펴야 한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 특유의 장고(長考)인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남도영 강주화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