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3월쯤 한·중 국방장관회담… 北도발 따른 지역정세 논의

입력 2010-12-26 18:28

한·중 국방장관 회담이 이르면 내년 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다.

국방부 관계자는 26일 “양국 국방장관 회담이 내년 2∼3월 중에 개최될 예정”이라며 “1월 초 국장급 실무진이 만나 회담의제 등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한·중 국방장관 회담 개최를 협의 중이었으나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사태와 이에 따른 국방장관의 교체로 일정이 다소 지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중 국방장관 회담은 양국 수교 이후 서울과 베이징을 오가며 1∼2년에 한 차례 정도 개최돼 왔으며, 지난해 5월에는 베이징에서 열렸다.

이번 한·중 국방장관 회담에서는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불안정해진 지역정세가 주된 논의대상이 될 전망이다. 한국은 중국의 책임 있는 행동을, 중국 측은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군사훈련 자제를 우리 측에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국방장관 회담은 내년 1월 미·중 정상회담 이후 개최되는 한·중 고위급 회담이어서 주목된다. 미·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양국의 조율된 입장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많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는 미국과 외교·국방(2+2) 차관보급 회의를 내년 1∼2월 개최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는 양국이 지난 6월 사상 처음으로 개최한 외교·국방장관(2+2) 회의에서 차관보급 회의를 정례화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우리 측은 김재신 외교부 차관보와 장광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미국 측은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 월레스 그렉슨 국방부 아태담당 차관보가 나선다.

한편 국방부는 일선 부대의 전투형 부대로의 전환을 독려하기 위해 특별검열단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군 고위 관계자는 “김관진 국방부 장관의 지휘지침인 전투형 부대 육성 대책의 일환으로 특별검열단 설치를 추진 중”이라며 “장관 직속으로 설치돼 김 장관이 직접 지휘하고 보고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단장으로는 현역 중장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은 지난 7일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부대관리형 행정부대에서 탈피해 즉시 전투에 투입될 수 있는 부대를 육성해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