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 밀집 경기남부까지…“우려가 현실로” 초긴장

입력 2010-12-27 00:13


경기도 방역당국이 총력을 기울인 차단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의 경기 남부지역 확산이 결국 현실화됐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김포를 포함한 북부지역에서 9차례 10개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모두 241농가 16만여 마리의 소와 돼지 등이 살처분됐거나 앞으로 살처분될 예정이다.

이는 북부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는 전체 한우(6만6000여 마리)·젖소(7만여 마리)·돼지(66만4000여 마리) 80만여 마리의 20%에 해당하는 것이다. 5마리당 1마리가 살처분되는 셈이다.

그러나 도는 이 같은 북부지역의 피해액이 남부지역 확산 시 예상되는 피해액에 비하면 그나마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경기 남부지역에는 경기도 내 전체 사육 가축 수의 3분의 2 이상이 사육되고 있는 데다 거주 인구도 많아 방역이 그만큼 더 어렵기 때문이다.

도내에서는 현재 한우 및 육우 24만9000여 마리, 젖소 17만6000여 마리, 돼지 215만50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이는 전국 사육두수 대비 육우가 10%, 젖소가 40%, 돼지가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도내 사육 가축 가운데 한우·육우의 72%, 젖소의 62%, 돼지의 69%가 안성과 평택·이천·용인·화성 등 경기 남부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다. 이 가운데 안성은 도내 사육 우제류의 13%(1978농가 38만6000여 마리)를 차지한다.

이들 대규모 축산농가 밀집지역으로 구제역이 확산될 경우 피해는 눈덩이처럼 늘어나게 된다. 이 지역 가축농가들은 “마침내 우려했던 일이 코앞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어찌할 줄 모르고 있다.

한우 200두를 사육하는 안성 삼면농장 최면기 대표는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첫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도 차량 통행은 물론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지내고 있다”며 “생활이 너무 불편하지만 자식처럼 애지중지하는 소를 구제역에 빼앗길 수는 없다”고 탄식했다.

974개 축산농가에서 16만2000마리의 우제류를 사육하는 평택시는 구제역이 발생한 경북 영천의 돼지농가를 드나든 차량이 관내 양교리 남모씨 농장의 돼지도 실어나른 사실이 확인돼 초긴장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경기도는 남부지역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도는 북부지역에서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2만5000여명의 연인원을 동원해 방역활동을 하면서 발생지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남부지역으로 확산을 막겠다는 각오였다.

구제역 방지차원에서 용인 16곳, 여주 9곳, 안성 6곳, 화성 4곳 등 경기 남부지역에 70개의 방역초소를 설치하고 공무원들을 배치, 통행 인력 및 차량에 대한 철저한 방역을 해 왔다.

도 방역당국은 경기 남부지역 방역망이 일부 무너졌다 하더라도 이날 구제역이 발생한 여주 인근 화성과 안성, 평택, 용인, 이천 등으로 추가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초소를 대폭 늘리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각 축산농가에도 지금까지보다 더 강력한 방역활동 및 예찰활동을 당부했다.

수원=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