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남북 대치, 새해 해맞이 행사 ‘먹구름’… 지자체들 축소·취소 잇달아
입력 2010-12-22 18:19
구제역 전국 확산과 남북한 대결 등의 여파로 새해 해맞이 행사에 비상이 걸렸다.
22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전국의 해맞이 명소로 알려진 서울 아차산, 부산 해운대, 울산 간절곶, 포항 호미곶, 강릉 정동진, 전남 해남 땅끝마을, 제주 한라산 등에 500여만명의 관광객이 찾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구제역이 경북에 이어 경기·강원 등 전국으로 확산되는 추세인데다 남북한 관계도 악화일로여서 상당수 지자체는 다양하게 준비했던 새해 해맞이 행사를 취소하거나 규모 축소에 나서고 있다.
경북 동해안의 포항시와 영덕군은 해맞이 행사로 유명한 호미곶의 한민족해맞이축제와 삼사해상공원의 제야의 종 타종식 등 관련 행사를 모두 취소했다. 구제역 확산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서울 광진구과 강북구는 내년 1월1일 오전7시 10만여명의 인파가 모인 가운데 아차산과 북한산 시당봉에서 가지려던 새해맞이 행사를 축소키로 했다. 구청들은 당초 등산로에 토끼인형을 세우고 청사초롱을 설치한 뒤 가훈과 사랑의 엽서쓰기, 소원지 적기 등의 이벤트를 계획했으나 최대한 간소하게 치르기로 했다.
부산시는 31일부터 새해 1월1일까지 이틀간 부산 해운대·다대포 해수욕장, 용두산 공원 등에서 해맞이 축제를 연다. 시는 100여만명이 찾을 것으로 보고 축하공연, 헬기 축하비행, 바다수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으나 구제역 확산 우려 등으로 행사를 대폭 축소조정할 계획이다.
강원도 고성군은 남북 관계 긴장 등을 고려, 동해안 최북단 통일전망대에서 열릴 통일기원 해맞이 행사를 일반 관광객 없이 지역주민 200여명만을 초청해 치를 방침이다. 강릉시는 정동진과 경포해변 등에서 불꽃놀이와 모래시계 회전식 등의 이벤트를 가지려 했으나 이를 변경했다.
전남 해남 땅끝마을과 제주 한라산 등에서는 희망 연날리기, 야간 산행 등 다채로운 해맞이축제가 계획돼 있으나 유동적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새해 해맞이 행사를 취소 또는 축소하면서 특수를 노렸던 관광업계는 울상을 짓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