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1%P 오르면 결혼 1000건 줄어든다

입력 2010-12-22 21:33

실업률이 1% 포인트 오르면 결혼 건수가 1년에 최대 1000건가량 줄어든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임시직 비율이 상승해도 결혼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고용조건 외에도 주택가격 상승 역시 젊은 남녀의 결혼에 제약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이상호 연구조정팀장은 22일 ‘저출산·인구고령화의 원인에 관한 연구-결혼 결정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고용 불안정성 및 결혼비용이 결혼에 대한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불안정한 고용상황이 결혼 건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실업률이 1% 포인트 오르면 1년에 835건에서 최대 1040건의 결혼이 감소했다. 결혼율로는 15∼39세 인구 1000명당 0.18∼0.42건의 감소를 초래했다. 보고서는 “경기변동 혹은 실직상태를 나타내는 실업률의 상승은 소득의 불확실성을 초래해 결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임시직 비율 역시 1% 포인트가 상승하면 결혼 건수는 330건 줄고 결혼율은 0.23∼0.40건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를 보면 임시직 비율은 1990∼1997년 연평균 28.6%에서 98∼2009년 33.3%로 높아졌으며 같은 기간 초혼 건수는 35만4800건에서 25만6600건으로 줄었다.

또 결혼비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마련비용 증가도 결혼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주택마련비용은 결혼관습에 따라 남성 측에서 주로 부담하기 때문에 비용 증가는 남성의 초혼연령을 높이고 다시 여성의 초혼연령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여겨진다고 지적했다. 궁극적으로 주택마련비용 상승은 남성들의 ‘결혼시장’ 참여를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이 팀장은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완화시키려면 청년층이 선호하고 양질의 고용 창출효과가 큰 교육 보건 의료서비스, 사업서비스 등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해 청년층의 고용안정성을 제고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결혼을 준비하는 청년층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택가격의 안정, 특히 전세가격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