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사격훈련]“통상적 훈련 마쳤을 뿐…” 美와 긴밀한 공조 유지

입력 2010-12-20 21:54


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연평도 해상사격훈련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받았다.

이 대통령은 오전 임태희 대통령실장으로부터 사격훈련 계획과 북한 동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진행 결과 등을 보고받았다. 이 대통령은 김황식 국무총리를 통해 “전 공무원과 정부는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포 사격 훈련과 별개로 법무부 행정안전부 법제처 등 예정된 부처 업무보고를 정상적으로 받았다. 이 대통령은 업무보고 중간에 사격훈련 관련 상황들을 챙겼으며 사격이 개시되기 전에는 청와대 내 지하벙커에 있는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찾았다.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말을 아꼈으나 이 대통령의 강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외교·안보 부처 업무보고는 아니었으나 사격 훈련을 의식한 듯 안보와 관련한 발언을 많이 했다. 국가 정체성과 안보 교육, 국민들의 단합이 강조됐다. 청와대는 이번 사격 훈련을 ‘통상적인 훈련’이라고 설명하면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말아줄 것을 주문했다. 사격훈련 자체가 쟁점화될 경우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분쟁 지역화하려는 북한의 의도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고위 관계자는 “주권 국가가 통상적으로 하는 훈련을 실시한 것일 뿐인데 다른 나라들이 이 부분을 말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예정됐던 사격훈련이 마무리됨에 따라 연평도 사태 이후 추진해 온 국방 개혁과 안보태세 강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주변국과의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남북 간 긴장이 높아져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 입장은 변한 게 없다”며 “청와대와 정부가 발표했던 국방개혁과 안보태세 구축,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한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예상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의 외교전과 군사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한·미 동맹을 긴밀히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월터 샤프 한·미 연합사령관과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국대사는 18일 청와대를 방문,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만나 연평도 사격 훈련 문제 등을 조율했다. 사프 사령관 등 미측 인사들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어떻게 나오든 미국은 대한민국의 훈련 계획을 지지하며,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한국과 함께하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