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라이프] 최근 여러 목회자들이 성(性) 윤리 논란에 휘말려 낙마하거나, 곤욕을 치렀다. 기독교인, 특히 목회자들의 성범죄는 한국교회 이미지를 추락시키고 복음 전파에도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목회자, 성도, 교회 및 교단 등 한국교회 전체 구성 요소들이 협력해 목회자 성적 타락 예방과 회복을 위한 윤리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모색하기 위한 ‘목회자 성윤리, 어떻게 할 것인가’ 포럼이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과 바른교회아카데미 등 주최로 20일 서울 남산동 청어람 사무실에서 열렸다.
기윤실 공동대표인 이동원 지구촌교회 목사는 “성 윤리에 관한한 한국교회는 매우 은폐적이었고, 이야기하는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돼 왔다”며 “정직한 대화의 장으로 가져 나와 함께 아파하고, 치유의 대안을 마련하고, 잘 예방함으로써 교회의 본질과 거룩함을 회복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인사했다.
박성자 기독교여성상담소 소장은 교회 내 성폭력의 가장 큰 특징으로 목회자의 권력 남용과 그로 인한 성서의 오용 및 자의적 해석에 의해 이뤄진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교회 내 성폭력 문제를 전담해 처리할 수 있는 구조가 없고, 교단 법에도 관련된 법 규정이 없어 가해 목회자를 징계, 처벌하거나 피해자를 돌보고 치유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목회자 자신도 유혹에 빠질 수 있는 존재라는 점을 인식하고 홀로 심방을 하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상담하는 것은 삼가 할 것’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할 것’ ‘성적인 문제와 관련한 어려움이 생겼을 때 믿고 의논할 수 있는 자원(선배 목회자나 전문 상담가 등)을 개발할 것’ 등을 극복 방안으로 제안했다.
기독법률가회 사회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종운 변호사는 ‘은밀성과 입증의 곤란’ ‘고소의 어려움’ ‘신앙적 위계 관계’ ‘상습·재범의 가능성’ ‘제2차 피해의 심각성’ 등을 교회 내 성범죄의 특수성으로 들었다. 박 변호사는 “아무리 뛰어난 목회자라 하더라도 영적인 긴장의 끈을 놓치게 되면 성적으로 타락한 세속 정신에 몸과 마음이 물들어 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승호 영남신학대학교 교수는 예비 목회자 단계부터 성 윤리관 확립을 위한 철저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신학교들의 신학대학원 과정에 성윤리 과목이 거의 개설돼 있지 않고, 학기 중 사경회나 채플 등 시간에도 관련 설교나 훈련이 거의 없다고 김 교수는 꼬집었다.
홍인종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는 “성적 범죄를 지은 목회자가 회개와 하나님의 용서, 재헌신 등을 통해 복귀해도 리더십에 큰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그 사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전제한 뒤 목회 복귀를 위해서는 우선 진정성 있는 회개와 목회 현장에서 떠나는 유예기간, 상담과 영적 지도, 부부관계의 회복 등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홍 교수는 “‘음행과 온갖 더러운 것과 탐욕은 너희 중에서 그 이름조차도 부르지 말라’는 말씀에 목회자가 두려움과 떨림으로 순종할 때 성도와 교회의 순결함을 유지되고, 목회자와 성도의 진정한 교제가 회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지호일 기자 blu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