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훈련 긴장 고조] 美 “사격훈련 여부 한국이 결정할 문제”

입력 2010-12-19 18:37

유엔 안보리 회의에 임하는 미국과 일본의 입장은 ‘한반도 긴장 고조의 책임은 북한에 있다’로 모아진다. 지난 6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3국은 이런 공통 인식을 분명히 했다.

미 국무부는 17일(현지시간) 한국의 연평도 사격훈련과 관련한 논평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거듭 밝혔다. 필립 크롤리 공보담당 차관보는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군이 사격훈련을 할 경우 대응 타격하겠다는 북한의 위협에 대해 “정당한 군사훈련을 추가도발의 구실로 삼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한국은 주권 국가로서, 과거에도 실시한 적이 있고 북한을 위협하는 것이 아닌 통상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할 권리가 있다”면서 “북한을 위협하는 훈련이 아니며, 모든 나라는 방어를 위해 군사적 훈련과 연습을 실시할 권한이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북한의 연평도 공격에 앞서 진행됐던 사격훈련도 북한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북한을 향하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됐다”며 “현재의 긴장 상태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은 매우 신중하게 행동할 것으로 믿는다”면서 현 상황에서 사격 훈련을 하는 것은 “한국이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미국은 안보리 회의에 앞서 한국 및 일본과 사전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과 다른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 프랑스는 긴장 고조 책임이 핵확산활동과 연평도를 포격한 북한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일단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유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은 서울 발 기사를 통해 “한국이 연평도 해상에서의 사격 훈련을 둘러싸고 고뇌하고 있다”는 등 현상 위주로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특히 한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이 해역에서 훈련을 빨리 재개하지 않을 경우 앞으로는 아예 훈련을 할 수 없게 되는 나쁜 선례를 남길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이 2차 도발을 감행하게 되면 한국 경제나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이동재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