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훈련 긴장고조] 靑, 국가위기관리센터 확대 검토
입력 2010-12-20 00:50
연평도 해상사격훈련을 앞두고 정부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18일 통일부 실·국장 등 주요 간부들과 함께 비상대책회의를 여는 등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가 북의 군사 도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 국가위기관리센터를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청와대는 18일 임태희 대통령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현재의 청와대 대북 위기관리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에 합의했고, 구체적인 강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청와대는 2008년 9월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 이후 위기정보상황팀을 외교안보수석이 센터장을 겸하는 국가위기상황센터로 확대했고, 지난 3월 천안함 침몰 뒤에는 이를 정보수집 기능을 강화한 국가위기관리센터로 격상하고 대통령 안보특보를 신설했다. 그러나 이번 연평도 사건을 계기로 정보판단과 대응 등에 문제가 노출됨에 따라 다시 위기관리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인원을 보강하고 기능을 확대하는 방향”이라며 “국가위기상황센터를 유지하면서 기능을 확대할지, 새로운 기구로 개편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통일부는 20일 개성공단 방북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19일 “개성공단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인원은 제한하지 않지만 개성공단으로 들어가는 것은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19일 현재 북측 지역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은 개성공단 297명, 금강산 14명 등 총 311명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