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고 미달사태 후폭풍… 교육청, 용문고 첫 일반고 복귀 신청에 “안된다” 거부

입력 2010-12-19 18:23


서울시교육청이 대규모 미달 사태를 겪은 자율형사립고(자율고)의 일반고 전환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학부모들과 교사들은 미달 자율고의 일반고 전환을 요구하는 등 현 정부의 대표 교육정책인 자율고가 미달 사태로 거센 후폭풍을 낳고 있다.

◇시교육청 “자율고, 일반고 전환 못한다”=시교육청은 19일 미달 사태가 발생한 자율고의 일반고 전환 신청을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거 미달 사태가 발생한 용문고가 전날 일반고로 복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자 이를 거부한 것이다. 시교육청은 “이미 신입생 모집 절차가 완료돼 합격자가 정해진 상황에서 현행법상 자율고 지정 철회를 수용할 수 없다”며 “자율형 사립고 지정을 취소할 경우 후기고 전형 일정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앞으로 자율고 정원 미달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고 보고 지정 취소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자율고 제도 전반에 대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용문고는 일단 시교육청의 방침을 수용키로 했다. 용문고는 이날 학부모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현재 인원으로 1학년을 운영하되 최대한 전학생을 받아 학생 수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용문고는 신입생 전체 정원 455명 중 지원자 168명만 받아 20명씩 8학급을 운영키로 했다. 용문고 외에 정원이 100명 이상 미달된 동양고 장훈고도 비슷한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학부모 “미달 학교 내신은 어쩌나”=미달된 자율고에 합격한 학생과 학부모들은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줄어든 학생 정원으로 내신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19일 용문고 학부모 긴급회의에 참석한 김희영(44·여)씨는 “아이가 대학 들어갈 때는 수시가 70%나 된다는데 이 인원으로 학교가 운영되면 내신에서 불이익받게 된다”며 “아이들이 교육 마루타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오천(46)씨는 “학교 운영 경비가 있을 텐데 경제적 부담이 학부모에게 가중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미달 자율고는 일반고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학부모 김수희(49·여)씨는 “너무 많은 자율고가 생겨서 대부분 미달이라는데 내신은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며 “용문고를 일반계고로 전환해 학생들을 많이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율고 미달 사태는 예고된 혼란이라는 것이 교육계의 평가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자율고 수요 예측도 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확대한 게 가장 큰 문제라는 것이다. 또 자율고의 뚜렷한 성과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학비를 세 배나 받은 것, 자율고라는 명칭과 달리 학생 선발권을 제한해 추첨으로 학생을 뽑도록 한 것 등은 문제점으로 꼽힌다. 입시업체 하늘교육 임성호 이사는 “전국에 51개 자율고를 뽑았는데 그중에서 경쟁률이 2대 1을 넘은 학교가 13개에 불과하다”며 “우수한 학교와 질 높은 교육을 기대했는데 추첨으로 선발하면서 학부모의 기대심리를 떨어뜨렸다”고 지적했다.

임성수 이용상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