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중단 배경…인수후보 약해 제값 못받아 불록세일 한 뒤 재입찰 유력
입력 2010-12-18 00:07
우리금융 민영화가 결국 다시 해를 넘기게 됐다. 정부는 유효경쟁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을 내세우며 잠재적 후보들의 인수 여력을 믿지 못하겠다며 매각 중단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블록세일(소수지분 매각), 수의계약 등을 포함해 좀더 완화된 방안을 다시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수개월간 고수한 원칙을 완화하겠다는 것이지만 이로 인해 훼손된 대외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우리금융 민영화 중단 이유는=공자위가 이날 본회의 결과 민영화 중단을 최종 판단한 요인은 역시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민상기 공자위 공동위원장은 “당초 7월 30일 유효경쟁,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조기 민영화라는 원칙을 발표할 당시까지만 해도 이런 원칙들이 유효하고 유지됐었다”며 하나금융이 빠져 민영화가 중단됐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그 다음으로 유력한 인수 후보였던 우리금융 컨소시엄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측면의 경영권 프리미엄 해소 조건을 완화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원칙을 깰 수는 없었다는 설명이다.
공자위 위원들 간에도 나머지 8개 후보로부터 예비입찰을 받아보자는 의견이 제안됐지만 민 위원장은 “형식적으로 진행해 불필요한 비용을 들이는 것보다 더욱 건설적인 대안을 논의하는 것이 성공적인 민영화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후보 가운데 보고펀드, 칼라일 펀드 등 국내외 사모펀드 4곳이 참여를 희망했으나 그중 3곳이 자격제한 요건에 해당되고, 나머지 1곳도 자금 조달 방안이 불확실한 점을 유효경쟁 불성립의 이유로 들었다.
경남·광주은행 등 지방은행 분리 매각도 중단하는 데 대해서는 애초 우리금융 전체 지주사의 유효경쟁이 필요했던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12개 인수 후보들이 치열하게 경쟁해 왔다는 점에서 분리매각 철회에 대한 반발도 거세질 전망이다.
◇새 판 어떻게 짤까=공자위는 그동안 논란이 됐던 유효경쟁 조건을 유연화해 조속히 민영화를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세일, 새로운 형태의 M&A 방식, 수의계약 등이 검토 대상이다. 민 위원장은 수의계약과 관련, “국가계약법상 구속사항이 있다”면서 “대안으로도 검토하되 어느 것이 유리한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완화된 M&A 방식이나 여의치 않을 경우 블록세일을 통해 지분을 쪼개 판 뒤 상황을 봐가며 경영권을 넘기는 방식이 유력할 전망이다. 이 경우 우리금융 컨소시엄이 다시 인수전에 뛰어들고, 우리금융에 관심 없다는 입장을 밝혔던 KB금융지주가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