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문할인점’ 추진… 품목 특화해 골목상권 보호
입력 2010-12-17 18:22
정부가 내년 ‘전문할인점’(category killer)을 키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형할인점과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진출이 가격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는 있었지만 골목 영세상권의 몰락을 부추겼다는 자성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17일 “내년 물가안정을 위해 다양한 상품에 대한 전문할인점 활성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문할인점이란 주방용품에서 통조림까지 거의 모든 생필품을 다 진열해 파는 잡화점식 매장이 아니라 특정 품목에 특화된 전문 소매점을 말한다.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카메라, 완구 위주로 형성됐지만 지금은 품목과 업종을 가리지 않고 생겨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전자제품 등 일부 품목에서만 전문할인점이 존재하지만 앞으로 유아용품, 의류, 신발, 문구, 헬스, 미용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매장을 활성화하면 유통구조도 개선하고, 골목상권의 활로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세제, 설탕, 화장지, 기저귀, 타이어, 유모차, 바지, 내의, 아동복, TV, 난로 등의 유통구조에 대한 정밀 실사에 나서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시정을 요구할 계획이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