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111명 장성급 인사… 전투병과 출신 女장군 탄생

입력 2010-12-16 22:17

국방부는 16일 합참차장에 김정두(56·해사31기) 해군 중장을, 특전사령관에 신현돈(55·육사35기) 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각각 임명하는 등 모두 111명의 후반기 장성 진급 및 보직 인사를 단행했다.



육군은 최종일(56·육사34기) 박선우(53·육사35기) 이용광(56·학군16기) 소장 등 3명이 중장으로 진급해 군단장으로 진출했다. 공군은 윤학수(55·공사25기) 소장이 중장 진급과 함께 국방정보본부장에 임명됐고, 이영만(54·공사27기) 소장은 중장으로 진급해 공군작전사령관에 보임됐다. 성일환(56·공사26기) 중장은 공군사관학교 교장에서 공군참모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송명순(52·여군29기) 대령은 전투병과 출신으로 처음으로 여성 장군이 됐다. 그동안 여성 장군은 간호병과에서 배출돼 왔다. 정현석(51·학사3기) 대령도 학사장교 최초의 장군이 됐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취임 12일 만에 단행한 장성 진급 및 보직 인사는 전문성을 갖추거나 야전형 인사들을 대거 발탁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김상기 육군참모총장, 이홍기 3군사령관 등 신임 군 고위 장성 14명으로부터 진급 및 보직 신고를 받았다. 이 대통령은 “이번 군 인사는 군대다운 군대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반영해 국방부 장관이 가장 공정하게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 대통령의 ‘공정’ 발언은 김 육참총장이 이 대통령의 포항 동지상고 후배라는 점을 비판하는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또 “여러분도 부대 지휘나 인사, 상벌을 다루면서 군대다운 군대를 만든다는 원칙을 갖고 해주기 바란다”며 “신임 국방장관을 중심으로 굳게 단결해 군이 정말 달라졌다는 평가를 듣고 신뢰와 사랑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공석 중인 청와대 국방비서관에 윤영범 한미연합사령부 부참모장(육군 소장)을 내정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