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연 5조원대 원전산업 선점 경쟁
입력 2010-12-16 18:19
세계 각국에서 원전건설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 지방자치단체들이 연간 5조원대의 원자력 연관산업 선점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16일 각 지자체와 부산발전연구원 등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가동중인 원자력발전기는 현재 438기로 내년부터 해마다 20여기씩 2030년까지 모두 866기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20조4000억원 규모의 원전건설을 수주한데 이어 내년부터 전 세계에 매년 1000㎿급 원전 2기씩을 수출할 것으로 보인다. 원전 2기를 수출할 경우 국내 연관산업 파급효과는 5조4000억원에 이른다.
이에 따라 고리원전이 위치해 있는 부산시는 원전플랜트 부품산업육성을 위해 원자력부품산업단지 조성과 원자력기술종합지원센터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또 원전부품산업 고도화와 융복합기술개발, 동남권 원자력 융합기술연구소 설치 등을 통한 연구·개발(R&D) 역량강화, 대학원과 학부의 원전전문인력 양성 등에 주력하고 있다.
울진·월성원전이 있는 대구·경북권도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구·경북권은 최근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동해안의 원자력 연구와 인력양성, 원자력 문화지역조성 등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충청권도 뒤질세라 ‘원자력 산업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대덕특구 2단계 둔곡지구에 원자력산업기술사업화센터와 인력양성센터 유치에 나서는 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북은 국내 기술로 처음 설계된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에서 대형 종합연구동을 준공한 뒤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등 관련 계획을 구체화하는 중이다. 강원도 삼척시는 원자력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우리나라가 자체 개발한 중소형 스마트(Smart) 원자로와 제2원자력연구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 최윤찬 연구원은 “원자력산업은 최근 전력수요 증가와 고유가, 기후변화, 에너지안보 등이 부각되면서 급부상하고 있다”며 “이 산업을 선점하기 위해 지자체들이 경쟁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의 호응이 없을 경우 원전건설은 물론 방사능 부산물의 보존·관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