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기업 프렌들리’ 추구… 재계 대표 20여명과 회동 각종 규제 완화 입장 시사

입력 2010-12-16 17:58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기업 프렌들리’로 정책 변화를 꾀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미국 대기업들이 줄기차게 요구해 온 정부 규제 문제를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른바 부자 감세안과 더불어 재계를 포함한 보수 진영의 주장을 반영하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백악관 인근의 영빈관 블레어하우스에서 재계를 대표하는 최고경영자(CEO) 20여명과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제너럴일렉트릭(GE)의 제프리 이멜트, 시스코시스템스의 존 체임버, 구글의 에릭 슈미트, 인텔의 폴 오텔리니, 모토로라의 그렉 브라운, 보잉의 제임스 맥너니 등이 참석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집권 2년간 각종 개혁정책을 추진하면서 재계와 빚은 갈등을 완화하고 관계 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회의 뒤 백악관의 별도 발표는 없었다.

AP통신 등 언론은 백악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오바마 대통령이 규제 완화 문제를 검토하겠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물론 재계 인사들은 기업 성장을 저해하고 불확실성을 극대화시키는 각종 규제들을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그동안 금융위기에 따른 경제 살리기 정책을 추진하면서 정부의 감독을 꾸준히 강화해 왔다. 특히 금융 부문에 대한 통제, 공적자금 투입 기업에 대한 사실상의 경영 관여 등으로 ‘큰 정부’ 논란과 재계나 보수 진영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오바마 대통령의 변화된 자세는 중간선거 패배 이후 전략적 수정인 것으로 해석된다. 부자 감세안에 대해 민주당 내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화당과 타협안을 도출한 것도 그런 배경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회동에 앞서 발표한 성명을 통해 “미국의 성공을 이끄는 제1의 엔진은 정부가 아니라 기업인의 창의성”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특히 “경기침체를 벗어나 성장을 이끌어내는 방법과 세제개혁, 균형을 갖춘 입법 작업 등에 대해 재계 대표들로부터 좋은 아이디어를 얻겠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 변화 조짐에 진보 진영 내부에선 앞으로 그의 개혁정책이 다소 약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