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통합 주최 ‘역사교과서 심포지엄’… “기독교, 근대화 기여 부분 배제 지나쳐”
입력 2010-12-16 17:54
“이대로는 다음 개정 교과서에서도 기독교에 대한 온당한 기술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총회가 주최한 ‘95회기 다음세대를 위한 역사교과서 바로세우기 심포지엄’에서는 초·중·고교 역사교과서 속 기독교 누락, 축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이 논의됐다. 당장 내년부터 사용될 개정 교과서 기술 지침에도 변화가 없다는 점에서 시급한 대응이 요구되기도 했다.
먼저 2008년부터 꾸준히 초·중·고교 교과서 내 기독교 서술 문제를 연구·발표해 온 서울신대 박명수(한국기독교총연합회 한국교회바로알리기본부 전문위원장) 교수는 이 자리에서 특별히 교과서 본문뿐 아니라 도움글, 사진자료, 심화과정, 부록 등에서의 편향성을 지적했다.
중학교 국사 교과서 부록의 연표를 보면 불교 유교 천주교 천도교 대종교 원불교 등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이 골고루 표시돼 있으나 기독교(개신교) 관련은 단 한 건도 없다는 것이다. 또 고교 국사교과서의 종교 관련 사진 중 유독 기독교 자료만 전무하다면서 박 교수는 “한글 보급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성경, 근대사립학교의 기원인 배재학당, 세계 최대의 여의도순복음교회 등은 충분히 실릴 만한 사진이라는 점에서 이는 지나친 기독교 배재”라고 역설했다.
박 교수는 ‘개정교육과정’의 역사교과서 집필안이 근대문물 수용과 근대국가 수립 부분에서 기독교가 3·1운동을 비롯한 독립운동, 민족계몽운동, 근대화에 기여한 점을 적시하도록 할 것과, 일제시대와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종교에 대해 설명하는 항목을 신설해 기독교를 주요 종교로 언급하도록 할 것을 요청했다.
안양대 기독문화학과 이은선 교수도 이 집필안이 개항 이후 근대 부분에서 특정 종교에 편향이 없게 서술하도록 규정한 점을 우려했다. 고대사회에서는 불교, 고려시대는 불교와 유교, 도교, 풍수지리 등을, 조선 사회 성립에서는 유교, 조선 후기 사회 변동에서는 천주교, 동학, 정감록 등을, 근대국가 성립에서 동학혁명을 다루는데 유독 기독교가 지대한 기여를 한 개항 이후 기술에서만 편향이 없도록 한 것은 기독교에 대한 역차별이 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이는 우리나라 근대화와 자주국가 수립이 외세의 영향이 아닌 내재적 동력에 의한 것이라는 역사학자들의 시각 영향이 크다”면서 “역사 인식의 큰 전환점이 마련돼야 집필 기준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수정 요청만 계속할 것이 아니라 일반 역사학계와의 인식 교류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교수는 미션스쿨들부터라도 역사 교육에 적극 나서고, 기독교 역사를 가르칠 수 있는 보조 교재를 개발해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