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피난주민 김포 이주 무기한 연기

입력 2010-12-16 15:43


당초 17일로 예정된 연평도 피난 주민들의 김포 아파트 집단 이주가 무기한 연기됐다.

주민들은 찜질방 생활을 끝내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소유의 경기도 김포 양곡지구 미분양 아파트에 이주하기로 했으나, 아파트 관리비 지급 문제를 놓고 인천시와 갈등을 빚으면서 입주를 미뤘다.

16일 인천시와 연평도비상주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연평도 주민 500여명은 이날 긴급비상대책회의를 갖고 시가 일괄적으로 LH와 계약하지 않고, 주민들이 직접 관리비 등을 내도록 할 경우 집단이주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했다.

시는 그동안 지급한 위로금 및 생활안정자금(성인 1인당 400만원, 18세 미만은 200만원)과는 별도로 아파트 입주시 관리비 명목으로 성인 1인당 100만원, 18세 미만은 50만원씩 2달간 지급하기로 했다. 대신 아파트 임대료와 관리비, 시설 보수비 등은 사용한 만큼 주민 본인이 부담하고 입주 가구별로 LH와 직접 계약하도록 했다. 관리비를 받은 주민들이 김포로 이주해 살든지, 아니면 친척집 또는 연평도로 돌아가 살 수 있도록 선택하라는 취지다.

하지만 주민들은 시가 LH와 일괄 계약해줄 것을 요구하면서 반발하고 있다. 개별 계약 체결시 임시거주 기간동안 벽지가 손상되는 등 임대 아파트에 피해를 줄 경우 주민들이 보상을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임시거주 기간이 2개월을 초과할 경우 아파트 관리비는 물론 임대료 부담이 주민들 몫으로 돌아갈 수 있어 이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성일(47) 비대위원장은 “비대위가 엄격한 심사를 거쳐 125가구 1046명의 집단이주를 결정해 시의 당초 예상보다 30가구를 줄였는데도 시가 처음과 달리 이제 와서 다른 이야기를 해 주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또 정부가 취로사업 명목으로 지급한 20억원에 대해서도 연평도로 돌아간 주민들에게만 줄 것이 아니라 연평도 주민들이 모두 귀향한 뒤 골고루 나눠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성원(55·연평면 남부리)씨는 “시에서 주민들을 와해시키고 있다”며 “시 관계자들이 100만원을 줄테니까 연평도 가서 굴따고 살라고 말했다가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쫓겨난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인천 시민은 “연평도 주민들이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냐”며 “시가 주민들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는 만큼 집단이주 약속은 지켜져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