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대장급 인사 ‘소폭’… 軍동요 막고 전력공백 최소화

입력 2010-12-16 00:25


김상기 육참총장 등 임명 안팎

국방부는 황의돈 육군참모총장의 갑작스러운 전역으로 야기된 대장급 인사를 소폭으로 단행했다. 군 수뇌부의 대폭적인 이동으로 야기될 전력공백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군의 동요를 막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16일 발표될 준장에서 중장까지의 장성급 인사에서는 김관진 국방장관의 개혁 성향이 반영된 ‘야전형 인사’들이 중용될 전망이다. 이번 인사에서 전투병과 첫 여성 장군이 나올지도 관심사다.

국방부 관계자는 15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준전시 상황에서 군 수뇌부를 한꺼번에 교체할 경우 대비태세에 허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 대장 인사는 교체 사유가 발생한 직위만 단행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육참총장으로 내정된 김상기 대장과 같은 육사 32기 박정이 제1군사령관이나 정승조 연합사 부사령관은 현직을 유지하게 됐다.

군내에서는 이번 육참총장 인사를 일단 무난하다고 보고 있다. 김상기 내정자는 육군은 물론 국방부·합참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쳐 포괄적인 국방 개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적절한 인물이라는 평가다. 올 들어 육군은 천안함 피격 사태로 한민구 당시 총장이 합참의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이어 취임한 황의돈 총장도 낙마하는 등 두 차례나 총장이 바뀌어 뒤숭숭한 상태다. 이 때문에 육군에서는 김 내정자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군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김 내정자의 고향이 경북 포항으로 박종헌 공군참모총장과 같고, 김성찬 해군참모총장(경남 진해)마저 경상도 출신이라는 점에서 지역 안배가 고려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김 내정자가 이명박 대통령의 동지상고 후배라는 사실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피격 당시 지휘라인에 있지 않던 황의돈 육참총장을 사퇴시키고 동지상고 후배를 총장으로 앉힌다”며 “국민들이 불안해하는 상황에서도 ‘후배 챙기기’만 하는 이 대통령이 한심하다”고 비판했다.

또 김 내정자가 북한의 천안함 사건 후속 조치로 동해에서 한·미 연합훈련이 진행되던 지난 7월 말 휴가를 다녀온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육군은 “당시 김 내정자는 관할 구역 내 군 휴양소에서 가족과 시간을 가졌고 육참총장의 허락을 받은 사항”이라고 해명했다.

이홍기 제3군사령관 내정자에 대해서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시 사실상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작전 책임이 있음에도 도리어 영전한 것은 적절치 못한 인사라는 비난이 있다. 이와 함께 군의 인사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산형성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황의돈 대장을 육참총장에 임명한 것 자체가 국민 정서를 읽지 못한 오류였다는 비판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