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도 뚫렸다… 구제역, 전국 비상
입력 2010-12-16 02:38
경북 外 지역서 첫 발생… 방역망 구멍
경기도 북부 지역에서도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해 구제역 전국 확산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위기경보 수준을 종전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올렸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5일 경기도 양주시와 연천군 소재 돼지농장 2곳에 이어 의심신고가 접수된 파주시 젖소농장 1곳에서도 정밀검사 결과 구제역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북 외 지역에서 첫 발병 후 동시다발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전날 경북 예천군 한우농가에서 접수된 의심신고도 구제역으로 판정됐다. 이날 경북 문경시와 영덕군 한우농장에서도 구제역 의심신고가 추가로 접수됐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51건의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35건이 구제역으로 판정됐다. 살처분된 가축 수는 850농가에서 15만2462마리에 달했다. 이는 최악의 구제역이 창궐했던 2002년 살처분한 가축 수(16만155마리)에 육박하는 수치다.
경기도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정부가 안동 구제역 발생 후 설치한 방역망은 유명무실해졌다. 기존 방역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거나 새로운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 여부에 관계없이 구제역의 전국 확산 가능성도 커졌다.
유정복 농식품부 장관과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담화문을 내고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축산농가들은 철저한 농장 소독과 의심 가축이 있을 경우 신속히 신고하고 구제역 발생 지역 여행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구제역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농가들에 대해 매몰된 가축은 시가로 보상하고, 생활 안정을 위해 보상금의 50%를 미리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가축을 사육하지 못하는 동안 생계안정자금을 비롯, 농가가 가축을 다시 들여올 경우 가축 시세의 100%를 융자금으로 빌려주고 학자금 등도 지원키로 했다.
이와 함께 구제역 발생 지역에는 정부 합동 지원단을 파견하고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접 시·군의 주요 도로변에 통제초소를 설치, 방역 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