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별관 존폐논란 2년6개월 넘도록 결론못내
입력 2010-12-13 18:45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착공된 이후 존폐 갈림길에 놓인 옛 전남도청 별관 문제가 2년6개월여의 지루한 논란 속에서도 마침표를 찍지 못하고 있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이 5·18사적지 원형보존을 위한 시·도민대책위가 9월 최종 제시한 ‘부분 보존 수정안’에 대해 3개월간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자 대책위가 최근 이를 철회하고 종전의 ‘원형보존’ 입장으로 돌아섰다.
추진단은 당초 ‘지하 전당’을 원칙으로 한 아시아문화전당 설계자의 의도를 존중해 별관 전체의 철거를 강행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추진단은 1년이 넘는 올 5월까지 단체들의 장기 농성으로 공사가 지지부진해지자 5·18정신계승을 위한 랜드마크적 기능을 보강한다며 별관 54m 가운데 30m를 부분 보존하겠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에 대해 별관 4층 가운데 3층까지만 철거하고 4층은 아시아문화전당과 조화를 이루는 연결 통로로 남겨두자는 수정안을 제안했지만 추진단이 지금까지 수용여부에 관한 입장 발표를 미루면서 다시 두 단체가 팽팽한 평행선을 달려 설계 당시 2010년 준공할 예정이던 아시아문화전당은 완공시기조차 장담할 수 없게 됐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