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컨소시엄 ‘입찰참여 포기’ 민영화 무산 위기

입력 2010-12-13 18:20

우리금융지주 측 컨소시엄이 우리금융 인수를 위한 입찰 참여를 포기했다. 높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원하는 정부의 요구에 맞출 수 없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민영화는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우리금융 민영화가 겉보기엔 23곳이 예비입찰의향서(LOI)를 제출할 정도로 뜨겁지만 실제로는 우리금융 컨소시엄 2곳을 제외하면 정부 지분(56.97%)의 절반 이상을 사들일 만한 큰손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이 독자 민영화를 위해 결성한 우리사랑컨소시엄(우리사주조합이 주축)과 W컨소시엄(우리은행과 거래하는 중소기업 경영인 등 4000여명)은 13일 강선기·석용찬 대표 명의로 예비입찰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발표문에서 “최근 매각주관사를 통해 입찰조건을 파악한 결과 유효경쟁이 성립되려면 28.5% 이상의 지분을 인수하려는 주체들 간 경쟁이 있어야 하고, 가격도 시가에 상당 수준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인수자문 비용 200억원 안팎, 실사비용에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부담하면서 입찰에 참여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측 컨소시엄이 포기선언한 배경에는 경영권 프리미엄이 자리잡고 있다. 정부는 최소 시가의 10% 수준에 이르는 프리미엄을 받아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꾀하겠다는 생각이다.

반면 우리금융 측 컨소시엄은 경영권 인수를 위해 동원한 거래고객이나 임직원이 주요 세력이다 보니 높은 프리미엄을 지불할 여력이 없다. 경영권을 행사하지도 못하는 소수 지분 투자자들이 구태여 웃돈을 주면서까지 지분을 사들이 이유가 없다. 이 때문에 우리금융 측은 시가의 3% 수준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 고위관계자는 “입찰 포기라고 보면 된다. 경영권 프리미엄이 걸림돌이었다. 정부가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지 않는 등 다른 방식으로 민영화를 추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강력한 인수 후보자였던 우리금융이 빠져나가자 정부는 당혹감에 빠졌다. 정부는 조만간 예비입찰을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예비입찰 날짜를 확정하지 못했다. 우리금융에 대해 LOI를 제출한 11곳 가운데 우리금융 측 컨소시엄 2곳을 제외하면 대부분 소수 지분 매입을 원하는 투자자들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회의를 거쳐 향후 대응 방안을 정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