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中企 ‘동반성장위’ 출범

입력 2010-12-13 18:26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相生)을 위한 동반성장위원회가 13일 공식 출범식을 갖고 활동에 들어갔다.

동반성장위는 대기업의 동반성장 약속에 대한 실적평가와 중소기업의 대기업별 추진실적에 대한 체감도평가 등 2개 항목으로 구성된 동반성장지수를 정기적으로 산정, 발표하기로 했다.

이날 첫 회의에선 그동안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 현황과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의지를 담은 ‘동반성장 이행헌장’도 채택했다. 동반성장 이행헌장은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파트너 인정,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준수, 대기업의 우월적 지위 남용 금지, 중소기업의 충분한 기업역량 확보, 중소기업의 하도급 윤리 준수 등을 담았다.

민간위원회 성격인 동반성장위는 앞으로 범산업계의 동반성장 분위기 확산과 실적 점검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기업별 동반성장지수의 정기적인 산정·공표, 중소기업 적합업종 및 품목검토 등 역할을 담당한다. 동반성장위는 앞으로 동반성장지수와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등 2개 실무위원회와 주요 업종별 위원회로 운영되며, 대·중소기업 협력재단이 사무국 역할을 맡는다.

동반성장위는 국무총리를 지낸 정운찬 위원장을 비롯,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CEO) 각 9명과 공익을 대표하는 학계·연구계 전문가 6명 등 모두 25명으로 구성됐다.

이날 서울 여의도 파이낸셜뉴스 빌딩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정 위원장을 비롯한 24명의 위원들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등 정·재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 위원장은 회의에서 “오늘 대한민국 경제는 21세기적 기회와 위협요인, 오랜 시간 누적된 편법과 불공정 관행이 중복돼 복잡한 갈등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며 “동반성장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할 일은 이러한 모순과 갈등, 기회와 위협을 넘어서는 우리만의 새로운 발전모델을 정리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