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요인 쌓이는데 MB, 공석장관 등 교체 언제쯤… 1월 말 전후로 ‘순차개각’ 할 듯
입력 2010-12-12 21:19
이명박 대통령은 언제쯤 개각 카드를 꺼내들까.
청와대는 “전면 개각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인사 요인은 계속 쌓이는 중이다. 지난 9월 16일 김황식 총리 발탁으로 공석이 된 감사원장은 하복동 감사원장 대행 체제가 3개월째 유지되고 있고, 장관급인 국민권익위원장 자리 역시 이재오 특임장관이 물러난 이후 4개월째 공석이다. 지난 8·8 개각 때 교체하려던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역시 후임자들의 낙마 사태로 4개월째 업무를 수행 중이다. 서둘러 임명해야 할 장관급 이상 자리가 4개인 셈이다. 여기에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이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하고 있는 ‘장수 장관’이고,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의 교체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연내 개각은 어렵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정부 업무보고가 29일까지 진행된다”며 “업무보고 중에 장관을 바꾸기가 쉽지 않다”고 전했다. 예산안 강행처리로 국회가 사실상 마비 상태여서 인사청문회도 부담스럽다. 결국 내년 2월 임시국회에서 인사청문회를 진행하는 방안이 유력하며, 역산하면 1월 말 전후가 개각 시기로 꼽힌다. 청와대는 현재 감사원장, 국민권익위원장 등 공석인 자리들에 대한 일반적인 인사검증을 진행하고 있으나, 후임자 콘셉트에 대한 이 대통령의 지침이 아직 내려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전면 개각’이라는 용어 자체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위기 쇄신용 개각에 대한 거부감이다. 임태희 청와대 대통령실장은 지난달 25일 김태영 국방부 장관의 경질을 발표하면서 “장관은 수요가 생길 때마다 한다. 일괄 개각은 없다”고 밝혔었다.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앞으로 전면 개각이라는 말 자체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대규모 개각-인사청문회 논란-낙마’의 악몽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 들어 첫 조각에서 남주홍 박은경 이춘호 3명의 장관 후보자가 낙마했고, 지난 8·8 개각에서도 김태호 총리 후보자와 신재민 이재훈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낙마했었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은 내년 1월부터 1, 2명씩 임명하는 ‘순차 개각’ 형식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은 14일부터 29일까지 정부 22개 부처로부터 내년 업무보고를 받는다. 부처들은 내년 주요 업무 계획과 함께 공정한 사회 실천과제,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후속 정책과제를 보고해야 한다. 부처별 업무보고 일정은 14일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 15일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국민권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17일 교육과학기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일 법제처 행정안전부 법무부, 22일 보건복지부 보훈처 여성가족부, 27일 국토해양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29일 외교통상부 통일부 국방부 등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