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최악 ‘경영 공백’ 사태 오나

입력 2010-12-10 00:34

신한금융지주 내분 사태가 다시 고비를 맞았다. 검찰이 신상훈 전 신한지주 사장과 함께 이백순 신한은행장을 구속 수사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신한금융 내부에서는 최악의 경영권 공백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신한금융 특별위원회는 9일 3차 회의를 열고 지배구조 개편 방안을 논의했다. 특위는 현재 2명(회장·사장)인 대표이사 자리를 회장 단독으로 하거나 회장·사장직을 통합하는 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특위는 다음달 말까지 지배구조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2~3월 이사회, 주주총회에서 차기 최고경영자(CEO)를 세울 예정이다.

하지만 검찰의 강경한 수사 방침에 특위의 계획이 흐트러질 수밖에 없다. 신 전 사장의 자진사퇴, 신한은행의 고소 취하로 수습 국면에 들어간 이번 사태가 결국 빅3(라응찬 전 회장, 신 전 사장, 이 행장) 퇴진으로 마무리된다면 경영권 공백이 예상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특위 위원들은 오는 16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이 행장까지 자리를 비울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은행장 구속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경우 발생할 경영 공백, 대외 신인도 하락 때문에 초긴장 상태다. 이 행장이 검찰에 구속된다면 은행장 신분을 유지하기 힘들다. 신한금융 이사회가 고소를 당했다는 이유로 신 전 사장에게 직무정지 처분을 내린 전례에 따라 이 행장에게도 직무정지를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이 행장이 불구속 기소되더라도 퇴진 압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상당한 물의를 일으킨 상황에서 기소된다는 것 자체가 은행이나 신한금융그룹에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한꺼번에 경영진이 모두 공석이 되는 일은 매우 이례적이다. 바로 후속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 특위에서 직무대행 선임 등 빠른 대응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는 이날 은행 자금을 횡령한 혐의로 신 사장을 재소환해 밤늦게까지 조사했다. 검찰은 이 행장과 신 사장이 화해했더라도 경영진의 횡령 혐의를 중대 사건으로 보고 두 사람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김찬희 안의근 기자 chkim@kmib.co.kr